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사
말씨
말
표시
서술
발상
말투
d라이브러리
"
표현
"(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리온스(수학) 와일드(의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는 편미분방정식과 실제 조건을 기술하는 요소들에 의해 정확히
표현
된다. 리온스박사는 60년대 후반에 이 방법이 수학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구체적인 응용방법까지 제시했다.와일드박사는 40년대 후반부터 초음파를 의학에 응용하려는 연구를 선도해왔다. 그는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된다. 이것으로 인해서 전기가 통하게 되어 각 펀치카드에 찍힌 자료가 전기적 자료로
표현
된다. 이 덕택으로 통계국은 처리속도를 4배나 향상시킬 수 있었다.물론 홀러리스의 아이디어 이전에도 펀치카드를 이용한 기계장치가 있었다. 1725년, 보촌이라는 프랑스 사람은 직물기의 무늬를 보다 쉽게 ... ...
과학용어 통일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일깨워주는 대목이다.서구과학이 처음 들어왔을 때 동양사람들은 생소한 개념을 적절히
표현
하는데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화기에 중국과 일본의 과학용어가 뒤섞여 혼란이 더욱 심했다. 일제시대에는 물론 일본 용어로 통일이 되었지만 해방과 함께 영어로 된 과학책이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말하는 2백개의 단어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또하나 놀라운 것은 칸지가 자신의 의사를
표현
하기 위해 두개이상의 단어를 일정한 차례를 두고 조합해서 쓴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양엄마인 마타타가 누군가를 물려고 하면 '마타타 문다'(Matata bite') 식으로 주어진 마타타의 상징을 먼저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장으로 사라지자 PC업계에 새로운 혁명의 불을 당긴 매킨토시(Macintosh, 간단히 Mac으로도
표현
함)가 등장하게 되었다. 과연 매킨토시의 정체는 무엇인가. 우선 매킨토시 출현 배경부터 간단히 살펴보자.매킨토시의 모체는 리사(Lisa)라는 컴퓨터다. 리사는 1983년 1월에 소개된 제품으로 모토롤라의 6800 ... ...
주머니 속의 컴퓨터 전자수첩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64킬로바이트(KB)까지 끌어올렸으며 32킬로바이트가 보편화된 실정이다. 1킬로바이트(KB)로
표현
가능한 문자는 알파벳 1천자. 따라서 현재의 전자수첩은 영문으로 3만~6만자를 쓰고 지울 수 있다.여기에 IC카드를 탑재하면 전자수첩의 용량과 기능은 더욱 확대된다. IC카드는 알려진대로 얇은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우리 두뇌를 외국에 봉사시키지 말자는 야무진 각성이 학생들의 입에서 공공연하게
표현
되기도 한다. 이들과 어울려 생명을 논하는 것은 참으로 신난다. 수많은 사람들의 얼굴표정보다 더 다양한, 오묘한 생명현상들을 엿보고 이해하는 것은 그 어떤 드라마보다도 재미있다. 그래서 나는 내가 하고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살아있다가 봄이 돼 기온이 올라가면 살아나는 동물들이 있다. '얼어 죽는다'는
표현
을 무색케 하는 이 동물들의 비법을 전수받는다면 생체조직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인간도 가능하지 않을까. 최근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는 꽁꽁 얼어서 겨울을 지내다가 날씨가 풀리면 살아나는 몇몇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미속특수촬영이란 식물이 2,3개월동안 성장하는 과정을 20~30초내로 압축시켜 비디오로
표현
하는 것. 예를들면 딸기가 싹이 터서 열매를 맺기 까지를 20초만에 움직이는 화면(비디오)으로 보여준다. 생태계 교재로는 최고봉이랄 수 있는 미속특수촬영은 정지사진을 찍는 기술이 밑받침되지 않으면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쾌감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로 도파민이라는 것이 있다. 도파민을 한마디로
표현
하면 '뇌속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각성제'라 할 수 있다. 대뇌피질의 측두엽 안쪽에는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이 밀도높게 분포돼 있는데, 여기를 전기 자극하면 평소에 얌전하던 여성도 색정적으로 변한다는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