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어린이과학동아
"
밤
"(으)로 총 4,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 보시는 사진은 우주에서 본 아시아의
밤
이에요. 반짝반짝 빛나는 불빛이 아름답지요? 중
포스팅
l
20140313
지금 보시는 사진은 우주에서 본 아시아의
밤
이에요. 반짝반짝 빛나는 불빛이 아름답지요? 중국과 우리 남한은 불빛이 아주 환하지만 북한은 아주 어두워 보이지 않네요. 마치 우리나라가 섬처럼 보여요. 북한도 빨리 발전되었으면 좋겠어요. ...
글램핑
기사
l
20140309
씻거나 설거지를 하러 갈때에는 밖으로 나가서 해야 한다. 엄마와 나는 설거지를 하러 10시경에 텐트를 나왔다. 나와서 길을 가니
밤
이라 깜깜했다 그래서 하늘을 보았는데 별이 쏘다지듯 잘 보였다. 그때 생각이 난건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에서 맛보기취재로 한 별자리를 알아보았는데 별자리가 생각난걸 찾아보니 북두칠성,오리온 자리, 카시오페아 등등 찾아 ...
여긴 부산의 궁리마루입니다. 궁리는 생각하는걸 말하고 마루는 옛날집에 많이 있었던 대청마루
포스팅
l
20140308
생각하고 얘기하자는 뜻인것 같아요. 수학.과학을 교과서 없이 만들고 체험하며 배우는 곳이죠... 여기에서 공부하면서 수학과 과학이 더 좋아졌어요... 금요일
밤
에는 천체망원경으로 별자리도 볼 수있어요.. 이곳이 궁금하다면 부산에 올 때 한 번 들러보세요. 수학.과학 투어도 해 볼 수 있어요. 인터넷으로 꼭! 예약하시구요.^ ... ...
오늘 저는 동면을 깬 개구리 처럼 펄쩍 뛸 일이 생겼어요. 반에서 압도적인 표를 받고 회장
포스팅
l
20140306
오늘 저는 동면을 깬 개구리 처럼 펄쩍 뛸 일이 생겼어요. 반에서 압도적인 표를 받고 회장에 선출 되었어요. 한 학기동안 힘들겠지만 즐겁게 빈을 위해 일할께요. ^^모두 좋은
밤
되셔요~~~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
기사
l
20140306
지구간의 거리는 4500만km로 추산합니다.사정이 이런데도 불구하고 금성은 목성보다 훨씬 더 밝은 최대 -5등급으로 분류됩니다.실제
밤
하늘에서 육안으로 ‘금성이 목성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그러나 망원경으로 관측할 경우 “육안으로 보는 것과 반대로 금성이 작다”는 것은 500년 전에 밝혀진 정설의 과학입니다.목성은 금성보다 지구와 ...
美학자들 케플러망원경 분석결과, “우리 은하계 ‘제2의 지구’ 후보 200억 ~ 400억개”
기사
l
20140305
‘제2의 지구’ 후보 별들의 숫자를 약 400억 개, 가디언은 약 200억 개로 계산했습니다. 주 저자인 페티구라는 언론 인터뷰에서 “
밤
하늘의 별들을 올려다보면서 ‘제2의 지구’가 엄청나게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면서 “특히 가장 가까운 ‘제2의 지구’는 불과 12광년 떨어져 있어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라 ...
우리 마을을 소개합니다 우리 마을에 있는 대표적인 공원 Best 3!!
기사
l
20140228
더 많이 칩니다. 가운데에는 커다란 축구장과 작은 인조 잔디 땅입니다. 축구장에서는 자주 축구연습을 하는 축구단이 있으나
밤
에는 안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배드민턴을 치기도 합니다. 대화 마을 작지만 볼거리는 많습니다. 시간 되시는 분들은 많이 많이 와 주세요~ ... ...
과학동아 용산 천문대의 모습입니다^^ 낮에는 해를,
밤
에는 별을 보러 오세요ㅎㅎ
포스팅
l
20140226
과학동아 용산 천문대의 모습입니다^^ 낮에는 해를,
밤
에는 별을 보러 오세요ㅎㅎ ...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129
왜 서울 같은 도시에서는 별을 보기 어렵지? 도 시는
밤
에도 불빛이 강해서 상대적으로 약한 별빛을 보기 어려운 거야. 하지만 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별을 볼 수 있다고. 맞아! 용산에 과학동아천문대가 생겼거든. 도심에서도 다양한 별을 볼 수 있다고~! ...
[진기명기]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129
왜 서울 같은 도시에서는 별을 보기 어렵지? 도 시는
밤
에도 불빛이 강해서 상대적으로 약한 별빛을 보기 어려운 거야. 하지만 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별을 볼 수 있다고. 맞아! 용산에 과학동아천문대가 생겼거든. 도심에서도 다양한 별을 볼 수 있다고~!...[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3호(2013년12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