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뉴스
"
신경
"(으)로 총 5,2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 현장에서 ‘VR’이 진통제로 쓰인다? 치유-회복을 위한 VR
2016.04.07
-진단-교육 등으로 나눠 살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의료VR은 일반 진료보다는 정신과,
신경
학 측면의 질병 치료와 관련해 많은 시도와 발전이 있었습니다. 또 장애, 고령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사람들에게 더욱 의미 있는 기술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얻고 있죠. 그들에겐 ... ...
뇌
신경
세포 실시간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파도’ 개발
2016.04.06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 세포의 질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며 “향후 파킨슨병과 같이
신경
세포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뇌질환의 근본적 원인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 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3D프린터로 두개골 뼈 찍어냈다… 첫 수술 성공
2016.04.06
생기원) 강원지역본부 적층성형가공그룹장을 중심으로 한 연구팀은 중앙대
신경
외과 권정택 교수팀과 공동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통해 ‘순수 티타늄’ 소재의 생체 이식용 두개골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권 교수팀은 이 기술로 제작한 두개골 뼈를 이날 오전 뇌부종으로 두개골이 ... ...
국내 첫 인공지능(AI) 전문 커뮤니티 ‘AI코리아’ 운영자
2016.04.05
서울과학고에 진학해 독학으로 AI를 공부했다. “고1 때 필기체를 인식하는 인공
신경
망을 직접 코딩해서 만들었어요. 지도학습, 강화학습 등을 공부하면서 게임이나 주식 자동거래 프로그램도 만들었죠.” 2003년 서울과학고를 조기 졸업한 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 진학한 그는 4년 만에 MIT ... ...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04.04
배신자를 처벌할 때 나타나는 사람의 뇌 반응도 자못 흥미롭습니다. 벨기에 취리히대
신경
과학과 도미니크 드 퀘르벵 교수가 사이어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비협력자, 즉 배신자를 처벌하는 행동을 할 때 우리의 뇌는 ‘즐거움’을 느낍니다. 배신을 당한 사람이 배신자를 처벌할 때의 뇌를 ... ...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동아일보
l
2016.04.04
95%는 무증상이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드물게는 치명적인 급성
신경
계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10월까지는 각종 질병 매개 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만큼 야외에서는 물론이고 가정에서도 모기에 물리지 않는 요령을 숙지하라고 권고했다. △야외 활동 시 ... ...
[꿀잠 잡시다!]온몸 근육 흐물흐물해지는 느낌으로 긴장 풀어라 外
동아일보
l
2016.04.04
관리가 필요한 질병일 뿐입니다. 조현병은 현악기의 현처럼 연결돼 있는 뇌의
신경
구조가 잘 조율되지 않아 정신적 혼란스러움이 찾아오는 질병입니다. 약물 치료를 통해 다시 조율하면 회복됩니다. 100명에 한 명꼴로 발병하는 이 조현병은 10∼30대의 젊은 나이에 시작돼 오랜 기간 지속되는 특성이 ... ...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포커스뉴스
l
2016.04.03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극히 드물게 바이러스에 의해 치명적인 급성
신경
계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질본은 4월부터 10월까지는 각종 질병매개 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시기라며, 본격적인 모기 활동시기에 앞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본 ... ...
지카 바이러스 자세한 구조 첫 확인
2016.04.01
신경
계나 태아를 공격하지 못하는 데 반해 지카 바이러스는 태아 소두증과 희귀
신경
질환인 길랭-바레 증후군과도 연관돼 있다”며 “지카 바이러스만의 독특한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
빛과 열로
신경
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억제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며 “해마세포뿐만 아니라 대뇌피질세포 등 일반적인
신경
세포에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학술지 ‘ACS 나노’ 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