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교수팀의 논문 온라인판을 업데이트하면서 편집자주를 추가하고 “이 논문의 일부
결과
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며 “향후 이 논란에 대한 네이처 편집부의 입장을 밝히겠다”고 발표했다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2012년 NASA가 보낸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Curiosity)’가 화학및광물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화성 표면은 오랫동안 풍화된 현무암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비슷하게 마우나 로아 지역도 화산이 분출한 화구 주변에 마그마가 퇴적하면서 해발 약 2500m에 작은 언덕이 생겼다. 이곳은 생긴 지 얼마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아니라 필자를 포함한 여러 과학자들이 후속 연구를 통해 계속 개선하고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전사를 조절하는 생체시계 유전자들이 3개의 전사-번역 되새김 고리로 서로 맞물려 있으며, 포유류에서도 이와 유사한 모델이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전사 조절뿐만 아니라 RNA 번역이나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위해 직접 실험 참가자를 모집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해 통계학도 공부했다. 연구
결과
는 지난해 ‘한국인지및심리학회’ 학술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로 선정돼 공개됐다. 국내 뇌과학 동아리 구심점으로뉴런에서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다른 학교와의 연계 활동이다. 대학마다 뇌과학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현상을 수렴진화라고 합니다. 박쥐와 새처럼 계통적으로 관련 없는 두 종이진화
결과
비슷한 날개를 갖는 게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또 말벌과 산호뱀처럼 맛이 없거나 유해한 동물은 붉은 줄무늬가 있거나 검은색 또는 노란색이 많습니다. 이런 특징도 수렴진화의 예로 볼 수 있는 것이지요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던 핑크 플로이드지만, 이들이 시도했던 실험 정신과 그
결과
로 만들어진 진보된 음악은 끊임없이 다른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 ...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
를 기대해 주세요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디로 어떻게 번질지 예측할 수 있어요.◀ 이번 강원도 삼척시 산불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
. 산불 발생지에서(흰색 세모) 남서쪽 방향으로 불길이 빠르게 번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번에 산림청에서는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해,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람들이 많이 사는 시내 방향으로 향하고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않게 만날 수 있어요. 또한 소라게에게 집을 내어주는 고둥이 소라게보다 많지요. 그
결과
우리나라 소라게는 여러 고둥껍데기 집들 중 원하는 곳을 골라 들어갈 수 있어요.하지만 안심하기엔 일러요. 해양 산성화는 세계적인 추세고, 바다는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교수가 기증해 2014년 10월 호주에 설치한 구경 43cm 광학망원경)을 이용한 광학 관측
결과
를 보고했다.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