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전도의 열풍 아담한 슈퍼컴퓨터도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세대컴퓨터' 내지는 '생각하는 컴퓨터'가 기초연구 부족으로 거의 공수표로 드러난 것과
마찬가지
로 기초연구가 어느 정도인지는 의심스럽다. 열기는 뜨겁지만 현실은 냉험 초전도체 연구는 작년 올해 내년에도 과학계의 핫이슈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10년후 20년후가 되도 이러한 상황은 크게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지식의 습득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줄로 믿는다. 물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도
마찬가지
이다. 인간이 지구 상에서 할 수 있는 실험의 한계는 자명한 만큼 우주로 눈을 돌리는 것이 현명한 일이 될 것이다. 실제로 많은 물리학자들이 광속에 의해 묶여있는 금세기 물리학의 패러다임이 천체 ... ...
인간능력과 기계의 결합 로봇이 지능을 갖추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허리와 같이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허리부분의 상하 굴절운동은 없지만 직각좌표형과
마찬가지
로 상하운동으로 그 방향의 작업이 가능하다. (c)는 극좌표형 로봇을 나타내고 있다. 이 로봇의 팔은 대포의 포신의 움직임을 닮았고 그 동작영역이 넓으며 사각방향으로의 작업이 쉬워서 스폿용접 등에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유아는 렘기에 손의 온도가 올라간다. 그것은 혼수상태의 성인(식물인간)의 경우와
마찬가지
로 대뇌의 발육과 관계가 있다.교감신경계를 억제하면 잠을 자게 되는 것일까. 이점을 고양이 실험으로 증명한 케이스가 있다. 뇌 시상하부(視床下部)의 복내측핵(腹內側核)에 교감신경 중추가 있다. 이곳을 ... ...
PC초보자의 손자병법 처음부터 전문가는 없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누구나 실수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성장하는 것이다. PC를 배우는 일도
마찬가지
이다. 지금도 많은 PC 사용자들이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배우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여기 그들이 알아두면 좀더 슬기롭게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상식 몇 가지를 살펴보고자 ... ...
함수의 활용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언어에서도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
로 함수(function)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함수를 만들어서 프로그램 내에서 이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c언어는 모든 모듈이 함수 그 자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소 혼동이 올 수 있으나 리턴(return)되는 값의 유무에 따라 이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대부분은 태양계 탄생이래 변화하고는 있지않다고 생각된다. 소행성의 경우도 큰 행성과
마찬가지
로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방사성원소의 붕괴에 의하여 열을 가지게 되지만 그 체적이 작으면 내부의 온도는 그렇게 높아지지 않으며 따라서 태양계가 형성된 당시에 가지고 있던 물질을 변화시키지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인공위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달의 주위를 회전하는 물체는 달의 위성이며 다른 천체도
마찬가지
이다. 스푸트닉 1호가 최초 인류역사상 처음의 인공위성은 1957년 10월에 지구궤도에 진입된 소련의 스푸트닉 1호였다. 자체능력으로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처음 진입시킨 나라들을 그 순서별로 보면 ... ...
발명가를 끝없이 유혹한다 영구기관은 영원히 불가능?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작용하지 않고 회전자도 돌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림6)은 국내에서 출원된 특허로
마찬가지
의 원리로 영구기관으로는 부적격. 영구기관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영구운동을 부정할 수는 없다. 예컨대 마찰이 없는 진공속에서 단진자는 언제까지나 같은 운동을 계속한다. 문제는 무(無)에서 에너지를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것이 없어졌어요. KBS에서 '노벨상에 도전한다'는 프로그램을 여러번 방영했는데
마찬가지
발상입니다. TV를 보면 우리도 금방 노벨상을 탈 것같지요. 그러나 중요한 건 기초가 튼튼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저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은 기업이 큰 몫을 맡아주리라 봅니다. 아직은 선진국의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