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할 것이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중력파 검출용
우주
망원경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데도, 인터넷 통신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파장다중분할 광통신기술을 발전시키는데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정밀 광주파수 측정 기술은 물질과 반물질의 관계를 연구하는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당시 지구와 태양간의 거리를 정확히 알아낸다는 것은
우주
의 전부라고 할 태양계의 크기를 결정짓는 문제이기도 했다.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프랑스의 귈롱 르장티라는 천문학자는 남들과 다른 특이한 생각을 했다. ... ...
최고 기록 극한의 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얻을 수 있다. 익스트림 사이언스는 1998년 엘리자베스 켈러라는 개인이 열었다. 미국항공
우주
국과 학교 보조교사로 학생을 가르치던 경험을 살려 아이들과 일반인에게 재미있고 틀에 얽매이지 않는 과학 내용을 전하고 있다. 사이트를 방문하는 수많은 과학자와 독자들이 끊임없이 내용을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쓰레기통은 없을 것입니다. 근처에만 가도 뭐든지 빨려 들어갈 테니까요. 블랙홀은 아마
우주
신령님이 골프를 칠 때도 많이 이용될 것입니다. 이 만화에서는 바로 옆에 있는 적색거성을 빨아먹고 있는 블랙홀을 그려 봤습니다. 적색거성이란 온도가 떨어져 표면이 붉게 변한 커다란 별을 말합니다. ... ...
위성영상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1m급의 정밀 위성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섯 번째 나라가 된다.현재 정부는 한국항공
우주
산업(KAI)의 자회사인 KAI이미지를 비롯해 아리랑 2호가 찍은 위성영상 판매를 맡길 곳을 물색, 협상이 진행 중이다. 전 세계를 아우르는 위성영상 시장 네트워크를 만들겠다는 것. 지금까지 위성영상 서비스의 ... ...
4.
우주
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찰나가 얼마나 짧은 시간인지 실감할 수는 없지만, 찰나와 같은 시간은
우주
가 탄생하면서 시작됐다. 또
우주
탄생 직후 찰나보다 짧은 시간에
우주
가 ${10}^{30}$배나 커지는 엄청난 일이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4.
우주
는 뻥튀기한 .. ...
2010년 '
우주
여객선'이 뜬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사용해 부품이 너무 낡았다”며 필요성을 밝혔다. 클리퍼는 최대 6명의 인원을 태우고
우주
정거장에 도킹해 길게는 1년까지 머물 수 있다. 2011년 첫 비행을 떠날 계획이다.연구진은 현재 클리퍼의 기본형을 만든 뒤 디자인을 계속 개선하고 있다. 클리퍼는 기본적으로 나무 그루터기처럼 원통 모양의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컴퓨터 음악을 하는 사람들에겐 꿈이 하나 있었다. 무대에서 제대로 된 실시간 연주를 한번 해 보는 것. 지휘봉 대신 조이스틱을 든 연주자, 무대를 가득 메운 수십 명의 오케 ... 안녕하십니까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4.
우주
는 뻥튀기한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형식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로 볼 수 있다 확장자를 mpg로 쓰기도 함
우주
에 존재하는 입자들은 서로 힘을 주고받는 입자 그룹과 전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입자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전자를 페르미온, 후자를 보존이라고 부른다 전자나 양성자는 페르미온에 속하기 때문에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한국시간으로 내년 1월 1일 오전 9시에는 1초가 더 생긴다고 한다. 8시 59분 59초 다음에 8시 59분 60초라는 윤초가 추가되는 것이다.수학적으로 1초는 8만6400분의 1일이다. 하지만 ... 안녕하십니까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4.
우주
는 뻥튀기한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