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뉴스
"
이름
"(으)로 총 4,75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약처럼 금단증상 생기는 ‘자외선 중독’
과학동아
l
2014.06.20
같다. 베타엔도르핀이 모르핀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베타엔도르핀이라는
이름
도 ‘몸속의 모르핀’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실험에서 자외선을 쪼인 쥐의 체내에는 베타엔도르핀이 더 많이 생성된 사실이 확인됐다. 쥐의 혈액 1mL에서 베타엔도르핀이 최대 300pg(피코그램·1pg은 1조분의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연구진이 소속된 서강대(SoGang University)의 영문
이름
에서 알파벳을 한자씩 따서 만든
이름
이다. 이전까지 세슘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물질로는 ‘타이타노실리케이트’를 사용했다. 이 물질은 티타늄과 실리콘의 산화물로 고농도의 방사성 세슘은 잘 흡착하지만, 농도가 1ppm 이하로 낮아지면 ... ...
“대도시에서 함께 살아가는 생물에게 관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16
생태 탐사 활동을 할 수 있다. 신 청장은 “전문가와 함께 팀을 이뤄 탐사를 하기 때문에
이름
을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들꽃이나 철새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원섭 산림청장(왼쪽에서 네 번째)이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어린이들과 대화하고 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김지우, ... ...
여성 화공학도, 회사와 함께 성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다니던 ‘장래가 촉망되던 과학도’의 최종 선택은 중소기업이었다. 그것도 당시에는
이름
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던 충청남도 천안의 작은 기업. 주변에서는 당연히 말렸지만 당사자의 의지는 굳건했다. 화학공학이 곧 제조업이라는 믿음과 과학·공학자들이 미래에 해낼 창업에 대한 기대 ... ...
[채널A] “진짜 인간 같다”…인공지능 판정 첫 통과
채널A
l
2014.06.10
페퍼 / 감정인식 로봇] "손사장님! 저와 악수하는 장면을 사진 찍어요" "좋아" 페퍼라는
이름
의 이 로봇은 인터넷으로 다른 로봇들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지능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공상과학영화에서나 볼 수 있던 인간처럼 생각하는 컴퓨터가 현실에 적용될 날이 머지 않았습니다. 채널A ... ...
꼬리에 ‘잎’ 달린 도마뱀, ‘팅커벨’로 불리는 파리
과학동아
l
2014.06.05
길이가 4~5cm나 되는 단세포생물이 발견됐다. ‘아메바 모양의 원생동물’이라고
이름
붙은 이 생물은 스펀지처럼 생긴 해면 조각을 모아 먹이를 유인한 뒤 촉수를 뻗어 사냥한다. 튀지지의 흙에서 발견된 '오렌지 페니실리움' - 미국 애리조나대 국제종탐사연구소(IISE) 제공 튀니지의 흙에서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새로운 뉴트리노가 있다면 약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야 하고 따라서 불임 뉴트리노라는
이름
을 얻었다. 불임 뉴트리노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1960년대부터 있었지만, 진지하게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뉴트리노 변환 실험 결과를 해석하면서부터다. 당시 뮤온 반뉴트리노가 전자 ... ...
[표심의 과학, 6.4 지방선거] 교육감 투표용지에 기호가 없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4.06.03
중 교육감 투표용지는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바로 기호 없이 후보자의
이름
만 적혀 있다는 점이다. 어떤 이유로 교육감 투표용지에만 기호가 없는 걸까? 원래 투표용지에 적힌 기호에는 원칙이 있다. 국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보유하고 있는 정당순으로 기호 1번부터 차례대로 부여 ... ...
“과학이 사회와 호흡하도록 과학계 문화를 바꿔야죠”
과학동아
l
2014.05.30
붙여 학계에 발표했다. 식물이 빛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발견하고는 ‘빛(bit)’이라고
이름
짓기도 했다. 정상의 자리에 섰지만 정체를 우려하는 마음에 남 단장은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0년 넘게 몸담았던 포스텍을 떠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뉴바이올로지’라는 전공을 개설한 ... ...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교수. 박 교수는 학부생들을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시켜 지금까지 여러 명의
이름
을 세계적 저널에 올렸다. 화학과 조상연(24, 4학년 복학생) 씨는 2012년(당시 4학년)과 2013년(당시 군복무 중) 자신이 주도한 논문을 세계적 저널 ‘셀’과 네이처 자매지에 잇따라 게재했다. 생명과학과 이서은(21)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