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스페셜
"
사람
"(으)로 총 5,57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제공
사람
의 신경계나 반도체의 집적회로 같은 물리적 네트워크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신경계의 경우 무수한 신경망이 상호작용하지만 각각의 신경세포는 엄밀히 분리돼 있다. 시냅스(신경세포간 연결부위)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반도체 회로 역시 각각의 노드(회로가 연결된 부분)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존경과 사랑에 빠지는 기쁨
2018.12.01
내년에도 사랑에 빠져 살길 바래본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을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
“16년 전부터 매달린 엔진 드디어 날아...2021 누리호 향해 중단 없이 연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한국 최초의 액체추진 소형 과학로켓 ‘KSR-3‘와 발사일이 똑같다. 조 팀장은 “세
사람
모두 KSR-3 때부터 발사체와 인연을 맺어왔다”고 말했다. 한 팀장은 2000년부터, 조 팀장과 전 팀장은 2002년부터 발사체 개발에 참여했다.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조 팀장은 잠시 망설이다 다시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통제센터 분위기 궁금하다 ▶고=당시엔 정확히 알지 못했다.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사람
이 세 분인데 그 분들만 데이터를 볼 수 있다. 최고 고도 도달했을 때 비로소 제대로 되는구나 판단했지만 끝날 때까지 끝나는게 아니었다. 떨어질 때도 끝까지 봐야되니까 통제실 내부 분위기는 끝까지 ... ...
우주 전문가들 "한국도 이제 우주 주권 갖게 될 것"…지속투자 강조
2018.11.28
말했다. 노태성 교수는 “자동차나 조선업종도 한국에서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
이 적었다”며 “미래 먹거리를 만들기 위해서라도 우주시장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류 대표는 “일본도 2020년에 경제성을 향상시킨 H3로켓을 발사한다“며 “우주산업도 경제성 있는 산업이 될 수 있고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한다. 문제는 3600개 공의 무게가 3600kg이라는 점이다.
사람
하나를 한 시간 띄우는 데
사람
무게의 36배의 공이 필요하다. 공의 무게를 생각하지 않고 계산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공이 더 필요하다. 결국 로켓의 무게 대부분은 연료가 차지하게 되는 셈이다. 거대한 로켓에 상대적으로 조그마한 위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성분표시로 케르세틴과 피세틴이 조연을 맡고 있다. 만일 두 물질의 세놀리틱 효과가
사람
에서도 입증된다면 단숨에 주연으로 뛰어오를 것이다. 제공 강석기 또 하나 중요한 건 당뇨병약처럼 평생 복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동물실험에 따르면 1주일이나 2주일 반짝 투여해 노화 세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편의를 봐줬다가 무슨 불똥이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
들이 대안을 적극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포스텍이 IBS에 감가상각된 자산 가치로 실험설비를 구매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당장 부담스러우면 수년간 임대를 하고 자산 가치가 더 떨어졌을 때 사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해야 덜 먹는다
2018.11.17
but less when pleased. Psychological Science, 25, 58-65.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을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역시 4K에서 사실상 인간 시각의 한계에 이른 것 아닐까. 바야흐로 TV 디스플레이가 ‘
사람
의 눈을 위한 기술’에서 ‘매의 눈을 위한 기술’로 넘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