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
d라이브러리
"
효과적임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KAIST에 이상한 새가 나타났다고?”KAIST 캠퍼스에 이상한 새가 출현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찾았다. 이상한 새의 실체를 보여주겠다는 연구원들을 따라 오리연못 앞 잔디밭으로 갔다. 바퀴 달린 이동식 작업대엔 컴퓨터와 원격 조종기, 그리고 새 모양을 한 비행체가 실려 있다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네 마리는 저쪽 능선에 있는 것 같고, 한 마리는 잘 안 잡히네.”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북부팀의 조재운 연구원이 산양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를 높이 쳐들며 말했다. 조 연구관이 추적하고 있는 산양들은 복원센터 뒤뜰에 있는 계류장에서 한동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레이저 탄생 50주년을 맞아 미래 레이저를 찾으라는 특명이 떨어졌다! 아직 산업용이나 의료용으로 상용화가 되지 않은 최신 기술의 레이저를 찾아 소개하는 것이 이번 미션의 핵심. 사실 레이저만큼 응용화와 제품화가 빠르고 종류가 많은 기술도 없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레이저 전문가들을 만나 ... ...
거꾸로 생각하는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05
‘방정식’ 맛 통조림이 나왔어요. 등호를 사이에 둔 통조림은 알려지지 않은 맛을 알아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답니다. 거꾸로 생각할 때 통조림이 열리는 즐거움도 맛볼 수 있을 거예요. 그럼 방정식 맛 통조림을 열어 볼까요?방정식은 초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를 사용한 식에서 처음으로 개념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사회자 : 안녕하십니까. 제50회 우주 만물 미인 대회를 찾아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저는 사회를 맡게 된 레이저 포인터입니다. 반갑습니다.우레와 같은 박수.사회자 : 네네, 감사합니다. 올해도 각양각색의 매력을 가진 후보들이 대거 참가했는데요. 지체하지 말고 후보들을 만나볼까요? 참가번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05
2010년 현재 전 국민의 3분의 1 이상은 비만으로 고민하고 있다. 책이나 인터넷에는 비만 관련 정보가 넘쳐나고, 온 국민이 비만을 막기 위해 24시간 고군분투하는데도 말이다. 왜 우리는 비만에서 벗어나지 못할까.그동안 비만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얼굴 못 생긴 건 봐줘도 뚱뚱한 건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05
중세의 암흑시기가 끝나고 서양 문명을 다시금 꽃피운 르네상스가 시작되면서 이탈리아 북부 해안의 도시국가들은 모직물 공업을 중심으로 극심한 경쟁을 벌였다. 이들 국가는 자기네 나라의 모직물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이름난 기술자를 영입하고 경쟁국의 기술을 알아내기 위해 염탐하는 데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나도 우리 반 인기짱이 될 테야~!”새로운 친구들과 새 학년을 시작하는 3월, 예전과 다른 모습으로 우리 반 인기짱으로 거듭나기로 다짐했어!그 동안 난 반 친구들에게 돋보이려고 무리하게 개그맨을 흉내내거나, 친구가 이야기할 때 툭 끼어들다가 면박만 당하기 일쑤였거든. 이런 행동들이 인 ... ...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수학동아
l
201004
안정, 기본 등 4가 가진 특성들은 세상을 쉽고 조화롭게 만들고 있단다. 생활 속 어디서든 4가 빠지지 않고 쓰이고 있지. 숫자 4는 정말 없어선 안 될 존재란다.✚ 우리 생활 곳곳에서 숫자 4를 찾아볼 수 있어. 간단하게 즐기는 게임이나 삶을 아름답게 만드는 음악 속에도 4의 원리가 들어 있지. 특히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04
생명체 크기 커지는 쪽으로 진화거대동물이 왜 그렇게 큰 몸집을 갖게 됐는지는 과학자에게도 흥미로운 주제다. 하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고있다. 다만 진화의 방향성을 놓고 보면 몸집이 커지는 쪽이 당연하다는 것이 공통적인 결론이다.미국 프린스턴대의 진화생물학자인 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