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염"(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미 발견된 바이러스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두 과학자는 역시 T림프구를 감염시킨다고 알려진, 미국 국립암연구소 로버트 갤로 박사팀이 발견한 ‘인간T세포백혈병바이러스(HTLV· Human T-lymphotropic virus)’에 대한 항체를 바이러스에 투입했다. 하지만 두 과학자가 발견한 바이러스는 HTLV가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른 단백질 백신만큼 신뢰할 수 있다. 단백질 백신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같은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했을 때 주목을 받는다. 백신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작용 탐색 과정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간단해 개발 기간이 짧기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화항체를 주입한다. 항체치료제는 언젠가, 반드시 찾아올 바이러스에 대항할 차세대 감염병 치료제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더 쉽게 찾아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 때문이다. 1994년 첫 항체치료제가 처음 출시된 이후 항체치료제를 개발하기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에 배양하여 검사해 보니, 원인체는 아스퍼질러스라는 곰팡이성 미생물이었다. 곰팡이에 감염되어 가뜩이나 숨 쉬기 힘들었던 독수리를 포획하느라 뛰어다니게 했으니 당연한 결과였다. 다른 독수리들이 같은 질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높아 몇 주 동안 먹이에 항곰팡이제를 넣어 주었다. 그뒤 다른 ...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거둔 첫 승리다.그러나 WHO의 천연두바이러스 종식 선언과 함께 감염병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는 몇 년 만에 사라졌다. 1980년대 인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로 새로운 공포에 휩싸였다. 수천 년간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새로운 변종으로 모습을 바꿔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종간 감염도 일으킨다. 메르스는 사스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이고,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나타나는 증상도 유사해 흔히 서로 비교된다. 그러나 두 바이러스 사이에는 엄연히 차이가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는 섬모 기관지 상피세포와 폐포 안의 2형 상피세포고, ... ...
- 코로나19 팩트체크┃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종 출현했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B계열은 아시아에서 온 계통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분석에 의하면 다수의 계통군은 감염경로의 역학적 의미를 나타낼 뿐 변종을 의미하진 않는다. 계통상 멀더라도 본질적으로 같은 특성을 가진다는 뜻이다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가 살고 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달이나 화성으로 향하는 우주인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을 염두에 두고 사전 예방이나 격리를 위한 연구는 계속 이뤄지고 있다.201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어린 시절 수두를 일으키거나 성인에게는 대상포진을 유발할 수 있는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않는다. 숙주세포는 끝까지 바이러스를 붙잡으려고 한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백혈구는 테더린(tetherin) 단백질을 분비하는데, 이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바이러스를 붙잡는다. 면역세포가 도착할 때까지 잡아두는 것이다.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탈출에서 성공하면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