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합"(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 결과 암세포가 부풀어 오르다 터져 사멸한다. 이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정상세포에도 결합하지만 증식하지는 못한다.임리직의 성공 이후 글로벌 제약회사와 전 세계 대학, 연구소는 바이러스 항암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와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다면, 껍질을 감싼 외피 단백질 표면의 당단백질 등이 숙주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어 숙주세포를 빠져나가기는커녕 되려 빨려 들어갈 수 있다.영리한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서 빠져나올 때 단백질 가위를 이용해 숙주세포에 다시 붙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먼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 표면에 발현된 MHCⅡ와 T림프구가 결합하면 면역과 관계된 여러 신호를 내보낼 뿐만 아니라, T림프구는 B림프구의 활성을 돕는 도움 T림프구가 된다. 이 도움 T림프구가 수지상세포와 함께 바이러스 C가 침입한 부위의 주변 림프 기관에 있는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위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박쥐 세포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탄생했다. 돌연변이에 관계없이 코로나바이러스가 공통으로 갖는 항원을 찾아야 만능 백신이 현실이 될 수 있다. 여전히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세포로 옮겨갈 때 기존에 감염된 숙주세포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8개의 RNA 분절로 이뤄져있어 복제 시 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변종이 많이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미세소관(microtubule)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한다. 엔도솜은 이 과정에서 리소좀과 결합하는데, 그 결과 점차 엔도솜 내부의 수소이온농도(pH)가 4.5까지 낮아진다. 그러면 산성 환경에서 활성화되는 효소가 작동을 시작해 엔도솜이 열리고, 바이러스는 자연스럽게 세포 내부에 퍼진다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사 수용체(TLR)’라고 부르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서로 다른 항원과 결합하는 약 10여 종의 톨 유사 수용체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2017년 강연 차 한국을 찾은 보이틀러 는 당시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연구 당시 성과가 나지 않는 시간이 길었고, 노벨상을 받는 것도 당연히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전파되는 양상은 바이러스가 어떤 숙주세포와 결합하고, 어떻게 유전체를 복제하며, 어떤 환경 조건에서 성숙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을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SARS-CoV-2)는 RNA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유전체 복제와 단백질 합성이 빠르게 이뤄지기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가 분화한 세포다. 단핵구에 세포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