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화상처리, 데이터 압축 등에 쓰인다. 수학자들도 이를 이용해 파도의 기본 파동을
구별
하고, 다음에 올 파도의 크기와 높이를 예측한다. Chapter 4 출렁이는 파도의 비밀은 원운동!나이스! 이제 매의 눈으로 파도를 잘 관찰해서, 파동의 주파수만 잘 분석하면 문제없이 파도를 넘을 수 있겠네요. 드디어 ... ...
팔방미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알 수 있다. 그 결과 같은 분자처럼 보이는 것도 거리와 위치를 파악해 서로 다른 분자로
구별
할 수 있게 됐다.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로봇의 경로를 찾는 데에도 쓰인다. 로봇이 장애물을 만나면 피해가도록 동선을 짜는 것이 필요한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 ...
9개월 아기도 언어
구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만 어떤 특정 상황에서만 동물의 언어 소리와 비언어 소리를
구별
할 수 있었다. 아테나 불루마노스 교수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유아들이 정교하게 언어를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언제 언어 인식 능력이 생기는지 알 수 있다면 그 능력을 극대화할 수 ... ...
여성의 IQ는 남성보다 높아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정규분포에 따라 만든 지수라 평균은 항상 100이어야 한다. IQ 검사의 원래 점수와 IQ를
구별
해서 이해하면 쉽다.그런데 IQ 자체가 오르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곽태호 멘사코리아 홍보분과장은 “과거에 만들어 놓은 표본집단의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IQ를 측정하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라고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유래했다. 둘은 어떻게 다를까.일단 겉모습만 봐도 브뤼셀 와플과 리에주 와플을 쉽게
구별
할 수 있다. 브뤼셀 와플은 와플 기계의 틀과 같은 네모난 모양이다. 반면 리에주 와플은 손바닥처럼 타원 모양이다. 이것은 와플을 처음 만들 때 반죽부터 다르기 때문이다.브뤼셀 와플 반죽은 액체에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낮춰도 핑거프린트가 바뀌면 안된다. 동시에 다른 이미지에서 온 핑거프린트와는 확실히
구별
돼야 한다. 동영상을 이루는 수많은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핑거프린트가 핵심 정보만 포함할 수 있게 크기를 줄여야 한다. 다른 장면들과 구분되는 장면만 찾아 중복되는 정보를 제거하고 특징을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표현할 수 없는 대칭군(5차 교대군)이다.1963년 미국의 수학자 존 톰슨이 단순군을 쉽게
구별
해 내는 방법까지 고안하자, 수학자들은 단순군의 목록은 쉽게 완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 기존 단순군과 다른 성질을 가지는 ‘돌발군’이 연달아 등장하면서 많은 수학자들이 대칭 ... ...
피부는 장식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모든 것을 다루고 있다는 자신감이 느껴진다. 반면 우리말 제목은 사회적, 정치적 ‘
구별
짓기’와 차별의 상징인 피부색을 다른 특징들보다 더 전면에 내세웠다. 차별은 민감한 주제다. 그래서 출간되자마자 많은 독자들이 책에 관심을 보였고, 신문에서는 다시 한번 ‘인종적 차별과 편견에 근거가 ... ...
촉감만으로 물질을
구별
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는 사람의 능력보다 더 정확한 것이라고 밝혔다.연구팀은 “로봇이 어떤 질감인지
구별
하는 능력에선 사람보다 뛰어났지만 사람이 어떤 질감을 선호하는지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며 “다양한 제품의 감촉을 평가하는 전문가가 필요한 회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특허를 받은 양쪽 면에 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뫼비우스의 띠 테이프였다. 안과 밖의
구별
되지 않아 보통의 테이프보다 2배 많은 시간 동안 소리를 담을 수 있다. 1940년 후반부터는 뫼비우스의 띠를 활용한 발명품은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1949년 오웬 해리스는 공업용 기계에 쓰이는 마찰 벨트를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