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근대"(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과학동아 l1991년 07호
- M20이 있다. 이것은 '삼렬성운'으로 더욱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이름은 메시에가 아닌 근대 가장 위대한 관측가인 존 허셸에 의해 지어졌다. 메시에는 M20이 성단일 것으로 판단했으나, 허셸은 어두운 선으로 3등분된 성운으로 관측해 이 이름을 처음 지었다. 대부분의 산광성운들은 저배율 아이피스로 ...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과학동아 l1991년 06호
- 보성전문 연희전문 등 문과계 사립전문학교의 이과계로의 전환 등이었다.애당초 근대적인 의미의 과학기술이 일본의 필요에 의해 기술 일부 분야만 기형적으로 이식된 형태였던데다가, 60년대 이후 수출산업의 성장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공업의 발전이 이루어지지만 기술의 성장은 주로 해외기술의 ... ...
- 공상에서 과학으로과학동아 l1991년 06호
- 한단계 질적으로 발전시켰던 것이다.이처럼 캠벨은 과학의 양면성을 동시에 묘사하는 근대 과학소설의 기본 조건을 확립하였고 이후 인류와 기술문명이 추구한 결과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거시적 테마의 작품을 전개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최초의 작가다. 예컨대 1932년 '최종 진화', 1934년 ...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양자론에 바탕 둔 전자공학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성숙해온 근대공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생산의 직접적인 요구 해결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성립 배경으로도 알 수 있듯이 생산기술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로서 나타난 공학은 노동수단과 노동대상, 즉 어떠한 도구나 ...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의미에서는 결코 과학적인 국민은 아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들의 자연관이 유럽의 근대과학을 특징짓는 자연관과는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의 일본이 이른바 모방문화를 바탕으로 유럽과학에 필적하는 과학문화를 쌓아올린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과학사가(科學史家) ...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작은 장벽들이 가로놓여 있다.해양을 관측 조사하는 주체는 조사선이다. 해양에 대한 근대적 연구는 19세기 영국의 챌린저(Challenger)호로부터 시작됐다. 해양개발이 세계적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 해양학 자체가 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생물 해양지질 해양환경 극지연구 해양기상 등으로 ... ...
- 초정밀의 세계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엄지손가락의 첫마디의 너비이며 피트는 발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그러나 비교적 근대로 들어와 체계가 잡힌 뒤 전세계적으로 사용된 것은 역시 미터법이라 하겠다. 미터의 정의는 프랑스 혁명 후 1790년 탈레이랑(C. M. Talleyrand)이 지구 북극에서 적도까지의 자오선 길이의 1천만분의 1을 1m로 하자고 ...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이루었고, 기술은 과학과는 밀접한 관련없이 기술자들에 의해 발전되고 전수돼왔다. 근대에 들어서도 과학자는 우주와 자연에 관한 문제를 풀어내는 이론과 실험적 작업에만 몰두했다.반면 중세 장인(匠人)의 맥을 이어받은 기술자는 자본주의 체제와 결합되면서 그들의 숙련된 기술을 돈버는데 ...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수선전도(首善全圖)다. 수선전도는 1824년에서 1834년 사이에 김정호가 제작한 서울지도로 근대지도(近代地圖)에 가까운 실측, 세밀지도다.수선(首善)이란 서울을 뜻하며, 그것은 한서(漢書) 유림전(儒林傳)에 '건수선 자경향시'(建首善自京鄕始)라고 한 데서 유래된 말이다. 그러니까 수선전도란 수도 ...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죽은 사람이 많다'고 A.D. 79년경 현재 경기도 광주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을 기술하고 있다.근대에 와서도 1936년 7월 3일의 지리산 쌍계사 지진(규모 5), 1978년 9월 16일의 속리산 지진(규모 5)이 발생하였다. 같은 해 10월 7일에는 충남 홍성에 지진(규모 5)이 발생하여 금세기 들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