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기생벌의 부재가 원인으로 밝혀지기도 했죠.한편, 곤충이 심한 갈증을 느끼도록
뇌
를 조종해 곤충을 물에 빠뜨려 죽이는 걸로 유명한 ‘연가시’도 생태계 유지에 한몫을 하고 있어요. 연가시에게 조종당해 물에 빠진 곤충들이 물고기의 먹이가 되어준 덕분에 주변의 민물고기들이 살 수 있거든요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교수팀은 톡소포자충이 치매에 걸린 쥐의
뇌
에서 면역체계를 조절해 베타-아밀로이드가
뇌
에 더 쌓이는 걸 막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덕분에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쥐는 치매에 걸려도 기억력을 잃지 않을 수 있었답니다.신은희 교수는 “톡소포자충에게 치매 증상을 완화시키는 능력이 있지만,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거든. 연구를 이끈 애드리언 다이어 부교수는 “곤충의
뇌
를 연구하면 간단한 구조로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는 미래의 고효율 컴퓨팅 시스템 설계에 큰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단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 심장은 스스로 뛴다!심장은 몸 밖으로 나와도 한동안 스스로 뛰어요. 이는 심장이
뇌
의 명령을 받지 않아도 수축과 확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때 수축 운동을 시작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동방결절’은 심장의 ‘우심방’에 있어요. 심장은 위쪽 두 개의 심방과 아래쪽 두 개의 심실로 ... ...
기생충의 기상천외 생존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무당벌레의 배에 알을 낳는 ‘기생 말벌’도 있어요.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무당벌레의
뇌
를 마비시키고 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기생해요. 이후 무당벌레의 배에 고치를 만든답니다. 무당벌레로 하여금 기생 말벌의 고치를 억지로 지키도록 만드는 거죠. 용어정리*중간숙주 : 기생충이 번식을 할 수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골절이 있었는데, 이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담당 부검의에 따르면 이는
뇌
가 얼면서 상대적으로 약한 봉합선을 따라 골절이 형성되는 현상으로, 저체온사의 지표 중 하나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A 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245%였다. 만약 운전했다면 당시 기준으로도 면허취소는 물론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
-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몰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많은 연구팀이
뇌
-컴퓨터 접속기술을 연구하고 있지만,
뇌
라는 미지의 대상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가야 할 길이 먼 분야입니다.
뇌
-컴퓨터 접속기술이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정신 활동을 제어할 수 있는 만큼 기술 발전과 함께 윤리적인 논의도 함께 진행돼야 합니다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
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100일 이후부터 불안장애와 우울증 같은 행동 장애와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논란을 불러왔고, 죽은 돼지의
뇌
세포 부활은 삶과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를 곱씹게 했다. 과학동아는 동아사이언스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부활을 삶과 죽음, 또는 그 경계 중 어느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또 이미 죽은
뇌
세포를 인위적으로 되살린다는 점에서 생명 윤리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