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보통
전반
총체
d라이브러리
"
보편
"(으)로 총 84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됐을 뿐 아니라 지금까지도 널리 사용되는 가장 익숙하고
보편
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종이로 된 문서를 이용해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습기나 화재로 훼손되기 쉬워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부피가 커서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특히 어떤 경우에는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도 밝혀져 있다.인간 게놈에서 발견되는 가장
보편
적인 SINE는 AluI이라는 제한효소에 의해 인식되는 특이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Alu 염기서열이라고도 부른다. 이들의 생체 내 역할은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현재 생명체내에서 새로운 유전자를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등을 제대로 밝힐 때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이 원활히 이뤄질 것이다.현재까지 가장
보편
적으로 쓰이는 CJD와 vCJD을 확인하는 방법은 발병환자가 사망한 뒤 뇌를 부검해서 뇌조직에 생긴 스펀지 모양의 구멍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다. 다른 검사로 ‘자기공명영상’(MRI)과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변환한 것만 차이가 있는 것 같다.과연 어느 정도 크기가 나노기술에 속하는 것일까.
보편
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나노기술의 정의를 살펴보면 1백nm 이하가 이에 속한다. 왜 하필 1백nm일까. 나노과학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이를 알아보자.처음으로 나노세계에 관심을 표현한 과학자는 리차드 파인만.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기술로는 완전한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다. 불에 그을린 물건에서 그을음을 벗겨내는
보편
적인 방법은 벤젠이나 알코올 같은 유기용매로 표면을 닦아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그림, 더구나 그려진지 오래된 그림의 표면은 아주 작은 자극에도 부스러지기 쉽다. 솜 등에 용매를 묻혀 손상된 부분을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여과 보조제로 석회를 깔아 만들었다. 이 여과기로 염료를 제작했다고 한다.중세에는
보편
적으로 헝겊 위에 액체와 고체 입자 등을 올려놓은 후 중력에 의해 액체를 여과했다고 한다. 이러한 방법은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많이 사용돼 왔다. 예를 들면 한약재료를 약탕기에 물과 함께 정성스럽게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등장하는 과학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사조들을 비판하면서 과학의 핵심은 객관성과
보편
성의 추구라고 강조한다. 동시에 진화라는 합목적적 현상은 미시적 수준에서의 교란에 해당하는 돌연변이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진화는 거듭되는 창조의 과정이라고 규정한다.7장에서 자연 생물들에게서 ... ...
1. 차세대 컴퓨터 주역 쟁탈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실현된 기술들도 있고, 가까운 미래에 사용되고
보편
화될 기술들이다. “데스크탑 PC 여전히 중요”이런 미래를 가져다줄 포스트PC에 대한 정의나 개념이 확립된 상태는 아니다. 즉 특정한 형태나 조건을 갖춘 PC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현재의 PC가 지니고 ... ...
실시간으로 메시지 주고받는 메신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받을 수 있는 상황인지 아닌지 미리 알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인터넷 사용이
보편
화되면서 전화와 함께 대중적인 통신 수단이 되어가고 있는 전자우편은 문서는 물론 다양한 형태의 파일까지 보내고 받을 수 있어 음성통화에 국한된 전화의 단점을 보완해주고 있다.하지만 전자우편은 ... ...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사실 테라스에 나무나 풀을 심는 것은 메소포타미아의 강가에 사는 사람들에게 매우
보편
적인 것이었다. 즉 도시 주위를 흐르는 강물을 이용해 식물을 재배하는 정원은 매우 오래전부터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영박물관에 보관된 니니브의 소위 ‘나무로 꽉 채워진 장소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