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d라이브러리
"
뼈
"(으)로 총 1,603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천의 얼굴에 숨은 천 가지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조직인 위장의 형태를 뚜렷하게 볼 수 있게 해 준다. 이는 조영제에 들어간 중정석이
뼈
보다 엑스선을 더 잘 흡수하는 특징 덕분이다. 중정석을 구성하는 원소인 바륨(Ba)은 원자번호가 56번으로, 인체 구성 물질보다 원자번호가 커서 엑스선을 흡수하는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다. 또 중정석은 물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은
뼈
의 성장속도에 비해 근력이 약해요. 그래서 근육이
뼈
를 충분히 잡아 주지 못해 휘어지기 쉽죠. 평소에 활발하게 뛰어 노는 것이 척추측만증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이랍니다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있어요. 80kg 선수라면 1주일에 4kg 정도 되겠네요. 체지방이 없으니 이정도 체중 감량도
뼈
를 깎는 고통이죠. 그 이상 체중 감량을 하면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체내 코티솔의 양이 증가합니다. 15% 이상이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고요.캐 선수들이 막바지에 체중 감량을 위해 땀복을 입고 사우나에 ... ...
[과학뉴스] 호빗은 실제로 있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판타지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호빗’처럼, 키와 몸무게가 인간의 절반밖에 안 되는 종족이 실제로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 (비교적 최근에) 진화했거나, 아니면 (그보다 훨씬 전에) 아프리카에 살던 작은
뼈
를 가진 호미닌으로부터 진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0명이 넘는다. 이들 가운데 아무도 동물의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단언하긴 힘들다. 따라서
뼈
에 남은 흔적이 모두 사람에 의해 발생했다거나 그 반대로 동물에 의해 발생했다고 성급히 판단해선 안 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습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아는 게 첫 단추다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만든 초음파를 여기서 증폭시킨답니다. 그리고 다른 돌고래가 낸 초음파는 아래턱
뼈
로 인지하지요. 돌고래는 초음파를 이용해 박쥐처럼 장애물을 피해가기도 하지만, 자기들끼리 대화도 한답니다.돌고래 소리는 ‘지프의 법칙’ 따르는 언어!과학자들은 돌고래가 내는 휘파람 소리가 언어에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재구성하는 데
뼈
만큼 강력한 증거는 없다. 다만
뼈
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정확히 듣기 위해서는 훈련이 필요할 뿐이다. 지금도 늦진 않았다. 그래서 오늘도 난 부러진 뼛조각을 열심히 맞춘다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떠난 남편은 사촌 두 명과 함께 창업 준비 중이었고 세 남자는 지금 정신 없이 바빴다.
뼈
몇 개가 부러졌다고 맘 편하게 누워만 있을 수는 없었다.집안 일이 끝나자 10시 반이었다. 윤정은 거실 소파에 쪼그리고 앉아 커피테이블 화면에 프레다의 영어 원고와 번역기가 초벌 번역한 한국어 원고를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부착한 센서가 발에 센서를 부착할 때와 비슷한 결과를 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꼬리
뼈
에 센서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무게중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실제와 더 비슷한 상황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알파인 스키 ★ 뒤꿈치가 고정된 바인딩을 장착한 스키를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해보자. 손목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걸 깨달을 것이다). 대신 팔뚝에 있는 두 개의 길다란
뼈
가 서로 X자로 교차하면서 팔 전체가 비틀리듯 돈다. 최 교수팀은 이 구조를 그대로 모방해 새로운 로봇 팔 골격을 설계하고 있다.기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일체형의 작은 장치로 바꾸는 연구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