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균"(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테리아 VS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모든 기관을 가지고 있어요. 흔히 ‘세균’이라고도 부르지요. 세균하면 병을 일으키는 나쁜 것이라는 생각을 떠올리기 쉽지만, 몸속에서 이로운 일도 많이 한답니다. 장 속에 살면서 사람들이 소화하기 힘든 영양소를 소화시켜 주기도 하거든요. 사람의 대장 속에는 보통 40 ... ...
- 2014 설 특집 목욕의 신이 알려 주는 목욕의 비밀 5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긴 거야. 각질이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세균의 침투를 막기도 한다니, 우리 피부에 꼭 필요한 존재겠지?각질과 먼지가 땀과 피지를 만나면 바로 때!때수건으로 피부를 문지르면 마치 지우개 가루처럼 밀려 나오는 때! 이런 때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때는 ... ...
- 개성 짱! 동물들이 모인 LOST VALLEY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지독한 냄새가 나요. 기린 피부에서는 강한 냄새가 나는 분비물이 나오거든요. 곰팡이와 세균, 벼룩이 증식하지 못하게 막기 위해서지요. 그래서 냄새가 많이 나는 기린일수록 건강하고 이성에게 인기가 많답니다.명예기자들이 추천하는 체험!백사자와 줄다리기 하기백사자는 일반 사자와 달리 갈색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못하면 콘택트렌즈에 많은 미생물이 번식하게 돼요. 그중에는 녹농균 같은 무시무시한 세균도 있지요. 녹농균은 눈에 염증을 일으키고, 이어 각막을 점점 얇게 만들다가 구멍을 내 실명을 시킬 수도 있어요. 단 몇 시간 안에 말이에요. 눈에 이상이 생겼다면 얼른 렌즈를 빼고 안과에 가 보세요.잠깐! ...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➋ 여름, 특히 장마철에는 공기 중 수증기가 많아져 습도가 매우 높아진다. 미생물이나 세균이 아주 좋아하는 덥고 습한 환경이 우리를 덮고 있는 셈. 실내 적정 습도 40~60%를 유지하고, 환기를 자주 하자.➌ 덥다고 차가운 물에 지나치게 오래 잠겨 있으면 저체온증이 일어나거나 심장에 무리가 올 수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상처가 생겨 세균이 침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포피 안쪽의 따뜻하고 습한 환경은 세균이 활동할 수 있게 해준다.에이즈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성기의 피부에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의 목표, 랑게르한스 세포가 있다. 포경수술로 포피를 잘라내면 이 세포의 양을 ... ...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섬유소 부족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암이나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유익한 장내 세균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항간에는 글루텐이 우유 단백질인 카세인과 함께 자폐증이나 정신분열증을 유발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험 결과, 글루텐과 카세인을 뺀 식단으로 생활해도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고 있다. 만약 어떤 기업이 태블릿 PC를 내놓으면서 항균(세균, 특히 인체에 해로운 세균을 제어하는 기술) 기능을 넣었다고 해보자. 정말 효과가 있는지, 어떤 미생물에게 특히 효과가 좋은지, 시간에 따른 변화는 있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만약 일일이 미생물을 분석하다가는 제품을 영영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단백질을 만든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보통 대장균에서 의료용 단백질을 많이 만들지만 세균의 일종인 대장균은 독소를 갖고 있는 사람과 달리 원핵세포여서 실제 사람 단백질과 차이가 많다. 현재 당뇨병환자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인슐린의 25% 이상이 효모에서 생산되고 있다. 만일 셰크먼의 연구가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피를 빨아먹으니 어린 개체라고 무시하면 큰 일 난다오.우리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다른 세균도 옮긴다오. 하지만 가장 큰 병은 역시 SFTS지. 2009년부터 중국에서 환자 수백 명이 발생한 데다, 올해는 일본에서도 사망자가 나왔다오. 5월에는 제주도에서 한국 첫 의심환자가 등장해서 곧 사망했지. 이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