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d라이브러리
"
소장
"(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특집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한 천문학자는 우리를 ‘초신성의 후예’라고 불렀다.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남긴 물질이 지상 모든 생명체를 이뤘다는 뜻에서다.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전현무(의장): 오늘의 비정상회담 안건은 좀 황당하다고 하더라고요.유세윤(사무총장): 도둑놈 심보예요. “연료도 풍부하고 깨끗하면서 안전한 에 ...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우리는 아직 경제적인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인류가 만난 가장 어려운 상대인 ‘자연’과, 그 자연이 무기처럼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큼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나온다.레이저 핵융합(관성가둠 핵융함)은 레이저로 초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핵을 융합시킨다.자기가둠 핵융합은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제가 ‘노가다’를 좀 했죠.”케이스타(KSTAR)의 산증인이라는 소개에, 양형렬 국가핵융합연구소 토카막공학기술부 부장이 경쾌하게 웃으며 말했다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쿵쾅쿵쾅!”이현곤 이터(ITER)한국사업단 기술본부장이 보여주는 사진을 가만히 들여다 보자, 귓가로 둔탁한 해머 소리가 들리는 듯 했다. 활엽수가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대학 수학과 박사과정생과, 서울대 수리과학부 이학박사 출신의 CMS 영재교육연구소 부
소장
등 수학계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토론 능력을 평가했다. 마지막 미션은 ‘릴레이 게임’이다. 이름 그대로 마치 릴레이 경주를 하듯 답안지를 배턴으로 삼아 문제를 푸는 코너다. 릴레이 게임은 10문제를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500테라와트(TW). 미국 전역에서 사용하는 순간 전력량의 무려 1000배에 이르는 에너지다. 이 막대한 에너지가 새끼 손톱만한 한 점에 집중된다. 지구에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스탠퍼드대 윌리엄 머너 교수와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화학연구소의 슈테판 헬
소장
을 수상자로 선정했다. 생물학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실험 장비가 현미경이다. 17세기 중엽 영국의 로버트 훅이 광학현미경을 개발한 이래 현미경은 생물학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 세포를 알게 된 것도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론물리학연구소가 됐다. 2008년 물리학상을 받은 마스카와 교수가 바로 이 연구소의
소장
출신이다. 재미있는 것은 마스카와 교수가 물리학을 하게 된 계기다. 그는 나고야대 출신인데, 고등학생 때 과학잡지에서 나고야대 교수의 연구 내용을 보고 ‘과학이 유럽이 아니라 일본 땅에서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