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질량이 ‘있는’ 물체를 광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단 소리입니다. 참고로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는 대형강입자충돌기(LHC)를 이용해 양성자를 빛의 99.999999%까지 가속할 수 있습니다. 이때 양성자의 운동에너지는 모기 한 마리의 운동에너지와 같습니다. 모기 한 마리의 질량은 양성자 한 개보다 약 3 ... ...
[한장의 기후위기] 꽃이 피자 대나무가 쓰러졌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꽃은 짧으면 60년, 길면 100년에 한 번씩 핀다. 정재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
연구소
연구사는 “(개화 및 고사 현상이) 이렇게 넓은 범위에 걸쳐서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했다. 대나무를 찾아 밀양 초동면의 한 마을 어귀에 도착했다. 초록이 우거진 산 중턱에 마치 갈색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클라우스 폰토피단. 제임스웹 운영을 담당하고 행성의 탄생을 연구하는 우주망원경과학
연구소
(STScI)의 프로젝트 과학자다. 시각 예술가, 작가가 함께 참여한 프로젝트8월 2일부터 1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국제천문연맹총회(IAUGA)가 열렸다. 폰토피단의 강연도 행사 일부였다. 4년에 한 번 열리는 ... ...
[만화 뉴스] 화성 탐사로봇 “소리가 잘 안 들려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화성에 소리 전달 매질인 공기가 더 적어서 그렇다고 추측했어요. 미국 로스알라모스국립
연구소
밥티스트 치데 연구원은 “소리로 화성의 대기 상태를 잘 알아낼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3교시] 퀴디치 경기 일정을 짜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리처드 호시노 캐나다 퀘스트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가와라바야시 겐이치 일본 정보과학
연구소
교수는 일본의 프로야구에서 정규 시즌 동안 어떻게 경기 일정을 짜야 모든 팀의 이동 거리와 이동횟수를 가장 적게 만들 수 있는지를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그래프 문제로 바꿔서 ... ...
[가상인터뷰] 걸음마 떼는 데 한 시간이면 충분하죠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시간 만에 걷는 법을 배운 로봇이 나왔다. 펠릭스 루퍼트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
다이내믹 로코모션 그룹 연구원팀이 7월 18일 발표한 로봇 개 ‘모티’의 얘기다. doi: 10.1038/s42256-022-00505-4 개발 과정과 의의를 모티와의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Q. 등에 있는 건 뭐예요?가상 척수예요. 이건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맞게 비슷하게 새로 만들어 나가야 했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할 때 고등
연구소
를 방문했던 카림 아디프라지토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와 교류하면서 힘을 합치게 되었습니다. 결국 2015년에 허 교수는 아디프라지토 교수, 카츠 교수와 함께 로타의 추측 및 웰시의 추측 ... ...
한국과 인연이 깊은 수학자부터 폴리매스 수학자까지! 별별 필즈상 수상자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프랑스 고등과학
연구소
교수의 아버지인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과학아카데미 동방학
연구소
교수는 러시아 최고의 한국어 권위자입니다. 그는 러시아어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표기법인 ‘콘체비치 체계’를 고안하고, 최초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러시아어로 번역했습니다. 레프 콘체비치 교수는 이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저는 오늘 1990년에 물리학자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한 에드워드 위튼 미국 프린스턴고등
연구소
교수를 소개하고, 그와 관련한 문제를 내려고 해요. 위튼 교수는 끈이론을 비롯한 고에너지 물리학과 고체물리학 전반의 토대를 이루는 탁월한 연구를 통해 수학에도 큰 영향을 준 학자예요. 현재 저는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없이도 저를 볼 수 있는 셈이죠. 저를 연구한 장-마리 볼란드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박사님은 우리를 발견한 게 “에베레스트만큼 큰 인간을 만난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어요. 너무 커서 박테리아가 아닌 줄 알았어요. 저를 처음 발견한 올리비에 그로 프랑스 안틸레스대 교수님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