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출가
연출자
산출
생산
연주
프로듀서
프러듀
d라이브러리
"
연출
"(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월드컵 - 축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열리고 있는 월드컵 대회로 온 세계의 이목이 축구에 쏠려 있다. 둥근 공 하나를 놓고
연출
되는 세계 각국 선수들의 신기에 가까운 묘기와 승부의 순간순간을 바라보면 전세계적으로 축구가 가장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유를 대충 짐작할 만하다.무릇 축구 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가 관람자에게 주는 ... ...
PART.3 세계최초 국내개발 '팬덤 3D'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팬텀 3D와 크게 다를 바 없지만, 대개 두 개 이상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체화면이
연출
되거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이중화면을 구사하는 기법이 주로 사용돼 왔다는 점에서 하드웨어적으로 모든 영상을 입체 처리하는 팬텀 3D와 큰 차이가 있다.사람의 눈이 사물을 입체로 인식하는 이유는 ...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곁들여진다. 이 모든 정보가 수치부호로 입력, 컴퓨터그래픽에 의해 입체화상으로
연출
돼 각종 국토정보를 생생한 그림으로 보여주고 면적 길이 부피까지도 수치데이터로 제공된다. 원하는 특정분야만을 꺼내볼 수도 있어 국가기간시설지도 관광지도 운전지도 하천지도 산림지도 인구지도 ... ...
이중성알비레오, 환상적자태자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것이다. 12일에는 월령 2.8의 달이 금성 근처를 지나므로 또 하나의 아름다운 서쪽 하늘을
연출
할 것이다. 망원경을 이용해 금성을 보게되면 이제는 거의 반달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을 것이다. 시직경 14초 정도이므로 목성의 1/3정도 크기로 보여질 것이다. 북쪽의 밤하늘 마차부자리의 카펠라가 ... ...
영상기록 장치의 총아 캠코더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표현하지 못한 화면의 질감을 6가지 모드로 표현하는 '프로그램 기능'이나 다양한 화면
연출
이 가능한 '타이틀 기능'등도 익혀 두면 유용한 기법이다.캠코더의 활용범위는 촬영자의 관심 정도에 따라 얼마든지 영역을 넓혀갈 수 있으며 사용 연령대도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따라서 새로운 신기술의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파도를 만들어 전파시키면 멀리서 보았을 때 바다에 파도가 치는 것과 똑같은 모양을
연출
할 수 있다.겉으로 보기에만 그런 것이 아니라 실제로 파동이 생기고 퍼지는 과정도 이와 같다. 매질 자체는 제자리에서 단진동하고 진동하는 영향(에너지)만이 전달되는 것이 파동이다.모든 파동은 한번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금성의 바로 북쪽을 통과해가므로 아직 가시지 않은 노을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장면을
연출
할 것이다. 3-4초 정도의 노출을 주어 사진을 찍으면 지상의 물체들과 함께 잘 나올 것이다. 물론 이때의 금성을 고배율의 망원경으로 관측하여 크기와 위상을 기록해 두면 11월에 동쪽하늘로 자리를 옮겨 ... ...
PART.1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있어 마치 골프장에서 실제 골프를 치는 듯한 감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역할(Role)을
연출
(Play)한다는 뜻의 롤플레잉 게임은 다양한 모험을 그 특징으로 하며 주로 영웅의 활약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게임에서 주인공 캐릭터는 처음에는 약하게 설정돼 있으며 적을 물리치고 경험치를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형태구성 요소 간에 일어날 수학적 조합의 가능성이 훨씬 많기 때문이고, 그 조합에 의해
연출
돼 나타난 얼굴의 형태차이를 우리의 눈이 예민하게 분석할 줄 알기 때문이다.나는 얼굴을 연구하면서 개인간 국적간에 의외로 그 차이가 크지 않은 데 놀라게 되고, 아마도 개들은 사람의 얼굴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부는 듯한 입 모양만 볼 뿐 정작 그 소리는 듣지 못한다(이때 돌고래에게 어떤 묘기를
연출
하라고 명령하는 것은 호각과 아울러 사육사의 손동작이다).박쥐가 초음파의 비밀을 캐는 연구의 길잡이가 되었다면 초저주파 음파 탐구의 첫 관문은 지느러미고래와 청고래가 열었다. 박쥐의 초음파가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