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 있음을 수학적으로 입증했다. 카트라이트 연구원은 “꿀벌에게는 이런 수학적 규칙이
유전
적으로 입력돼 있어 종마다 살기 적합한 구조의 벌집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꿀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한다? 집단생활을 하는 벌들은 집안에서 굉장히 밀집된 생활을 한다. 심지어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순간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9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핵에 침입한 후 자신의
유전
자를 복제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요. 그리고 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밖을 나가면서 숙주 세포를 파괴하지요. 지난 4월 8일, 브라질 오스왈도 크루즈 재단 연구팀은 200만 배까지 확대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 ...
털, 털, 털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2차 성징 때 몸 곳곳에 털이 자라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하지만 털 성장에는 그밖에도
유전
자나 영양 상태 등 정말 많은 요인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털=남성성’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친구들의 말은 가벼운 농담으로 받아쳐 보길 추천해요. 그리고 이 연구를 보면 털이 많다는 사실이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장기나 암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정교한 오가노이드를 개발하면 암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
자가 줄기세포나 암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고 이를 이용해 환자별로 적합한 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암의 근본적인 치료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셀’ 5월 1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0.04.011 각국의 바이오기업들은 이
유전
자 지도를 바탕으로 짧게는 수 시간 만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진단키트를 설계해냈다. 3세대 DNA 해독 기술로 해낼 수 있는 일은 앞으로 더 많아질 것이다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기온이 높아질 때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냈다. doi: 10.1038/s42003-020-0902-8연구팀은
유전
자 변형으로 잠을 적게 자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이용했다. 이 초파리는 주변 기온이 21도일 때보다 29도일 때 잠을 더 많이 잤다. 연구팀은 주변 기온을 조절하면서 온도에 따른 초파리의 뇌 영상을 촬영했다. 그 ... ...
[만화뉴스] 진화를 거스르는 거북개미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스콧 파엘 박사가 거북개미 89종의
유전
자를 조사한 결과예요.
유전
자 분석 결과 거북개미 89종의 공통 조상이 등장한 건 4500만 년 전이었어요. 원래 거북개미는 단단한 방패 같은 머리를 지니지 않았어요. 나무에 살게 되면서 외부로부터 집을 지키기 위해 나무 구멍을 막을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유전
정보를 싸고 있는 단백질 껍질의 일부 이미지와 바이러스가 가질 수 있는
유전
정보량의 한계를 종합해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바이러스 껍질를 이루는 모양은 정삼각형 아니면 정오각형 형태였습니다. 만든 수학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단백질 껍질의 기본 구조가 정이십면체와 유사할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doi: 10.7554/eLife.52069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전
자(OCT4)와 신경세포를 만드는
유전
자(LHX3) 두 가지를 피부세포에 주입해 피부세포를 신경세포로 만든 뒤 척수가 손상돼 뒷다리를 못 쓰는 쥐에게 이 신경세포를 주입했다. 그러자 신경이 재생됐다. 줄기세포를 이용해 척수 신경을 되살려 사지 ...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2019년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80/15548627.2019.1659616 김 교수는 현재 또 다른
유전
자 조작 쥐를 만들어 실험 중이다. 띠뇌실막세포 내에서 TSPO 단백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다른 단백질을 찾기 위해서다. 김 교수는 “TSPO 단백질의 기작을 밝힌 것만으로 지질 대사를 온전히 설명할 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