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별은 현재 있는 별의 5% 수준이라는 내용이었다. 우주의 노령화 문제가 심각하다.우리은하는 별 탄생이 활발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아주 먼 미래에는 어떤 모습이 될까. 모든 별이 소멸하고 별이 더 태어나지 않는다면 우주는 아무 활력도 없는 어두운 공간이 될지도 모른다. 가장 끝까지 살아남을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연결돼 있다. 대뇌 전체로 보면 약 150조 개의 시냅스가 있다.1000억 개의 별이 있는 우리은하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별 자체가 아니라, 별과 별을 잇는 150조 개의 미세한 끈이 주인공이라면 더더욱 난해해진다.1. 뇌에도 ‘위성지도’와 ‘정원 지도’가 있다뇌지도는 이런 뇌를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실제로 태양권 바깥으로 가면 수 GeV(기가전자볼트, 109eV)에 해당하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은하우주선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보이저 1호는 이런 고에너지 양성자 때문에 반도체 부품의 성능만 조금 나빠질뿐, 정상적인 항해와 교신은 가능할 것으로 과학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보이저 1호 202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그들의 활동이 없었다면 우리가 몸담았던 은하가 안드로메다와 30억 년 전에 충돌했다는 사실을, 웜홀 이동은 우주 어느 곳에서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결코 확증하지 못했을 것이다.하지만 그런 행적이 임무와 의무라는 미명 하에 등을 떠밀려서는 안 ... ...
- INTRO-초끈으로 우주만들기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생각하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쿼크, 양성자, 중성자, 전자, 원자, 분자, 행성, 별, 은하, 그리고 우주. 이 모든 것을 10-35m에 불과한 끈으로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이론에 도전하는 물리학자들은 이 원리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 Part 1. 빅뱅은 두 막의 충돌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시작됐다는 가정으로부터 우주의 팽창, 원소의 구성, 우주 배경복사, 은하에서 초은하단에 이르는 거대구조의 존재 등 현재 관측된 우리 우주의 모습을 잘 설명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초끈으로 우주만들기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Part 1. 빅뱅은 두 막의 충돌일까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입자 여러 개를 움직이게 만들어 물처럼 보이게 만든다. 70년대 말 천문학에서 성운이나 은하계를 연구할 때 고안된 방법이다.유체 시뮬레이션이 발달하면서 관객들은 현실에서는 볼 수 없었던 화려한 움직임을 스크린에서 보게 됐다. 지난해 3D로 다시 만들어졌던 영화 ‘타이타닉(1997)’의 바다는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있다는 생각도 버릴 수 있다.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 팽창에 발맞춰 멀어지고 성겨진 은하 사이에 물질이 새로 생기면 됐다. 지금 생각하면 무척 기괴해 보이지만, 당시에는 대폭발 자체도 괴상망측한 우주론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호일은 대폭발은 아예 과학이 아니라 유사과학이라고까지 했다) 이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15% 정도 차이가 나는 셈이다. 이석영 교수도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가까이에 있는 은하로 구한 값은 75~80km/s/Mpc 정도”라며 “반면 더 먼 초신성을 이용해 측정한 경우 67km/s/Mpc과 비슷한 값을 얻는다”고 설명했다.네 번째는 가상의 입자인 ‘제4의 중성미자’의 존재 여부가 불확실해졌다는 ...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발생시킨다. 은하 2호의 발사과정을 살펴보면 붉은 연기를 쉽게 볼 수 있다.하지만 은하 3호에서는 흰색 연기만을 볼 수 있다. 겨울의 낮은 기온과 독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백연질산을 교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형 발사체는 액체산소와 제트엔진에 사용되는 케로신(등유)인 제트A-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