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송신
보냄
전송사진
사진
전송순위
순위
d라이브러리
"
전송
"(으)로 총 1,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스트리머에 주황색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다.“스트리머가 감지한 탄성파 데이터를
전송
하는 케이블입니다. 이 케이블의 한쪽이 드라이랩으로 연결되지요.”흰 목장갑을 끼고 스패너로 케이블을 연결하고 있는 해양연 노경찬 연구원의 설명이다.해양연 동해연구소 김창환 박사가 온누리호를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많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해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바이오영상처리 및
전송
기술’ 분야는 광주과기원 정보기전공학부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바이오광학영상 기술을 이용하면 세포나 조직을 파괴하지 않고 분석할 수 있어 질병의 원인이나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도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KAIST 정하웅 교수는 “트위터가 지금처럼 문자를
전송
하는 서비스를 이어간다면 싸이월드의 방명록 같은 코너를 일부 잠식할 수도 있다”며 “하지만 그보다는 문자와 영상이라는 각자의 자리에서 공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트위터의 메뉴가 영어나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제시된 절차의 반대로 해 복호할 수 있다. 어떤 정보를 암호화한 뒤에 수신자에게
전송
할 때 수신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중간에서 암호문을 가로챈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내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암호화 규칙이 노출되면 소용없지만.이광연 교수는 성균관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 ...
오염 비켜! 로봇 물고기 나가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꼬리를 이용해 초속 1m로 헤엄칠 수 있지요. 그리고 무선 랜으로 바다 속 정보를 지상으로
전송
한답니다. 최첨단 물고기라고 할 수 있죠.세계 곳곳에서 기름 유출 사고 등 해양오염이 심각하니, 앞으로 정말 바쁘게 활동하시겠네요.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저를 개발한 연구팀은 내년에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안이 바로 플라즈몬파를 이용한 광도파로입니다. 플라즈몬파를 이용해 광신호를
전송
할 경우 도선을 50nm 이하의 두께로 만들 수 있습니다.”이 교수는 “광섬유는 광신호를 전달하는 코어를 중심으로 주변에서 신호의 세기가 조금씩 작아지기 때문에 대용량의 정보를 전달하려면 큰 부피가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데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6만 4000개의 작은 점으로 이루어진 스냅사진 60장이 지구로
전송
되었는데, 그 속에는 태양계의 가족사진이 담겨 있었다. 그 이벤트에 참가했던 한 과학자는 뿌옇게 현상된 사진을 쳐다보며 미세한 먼지 같은 이물질을 닦아내기 위해 사진을 훑었다. 순간 그는 그 먼지 ... ...
고해상도 웹 카메라 ‘스트로베리-티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윈도 창 크기인 320×420의 해상도에서 스트로베리-티니는 초당 30프레임으로 동영상을
전송
해 화상이 끊기지 않는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재생할 때 초당 30프레임을 사용하며, 이정도 수준이면 액션영화도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보인다. 500만 화소의 스트로베리-티니는 스틸사진을 찍을 때도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2 어디에 사용되나요?현재 나노광학에서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데이터를
전송
할 때 사용하는 전기 배선을 나노광학과 기존의 광통신 기술을 결합한 광배선으로 바꾸는 연구를 한창 진행하고 있다. 광배선이 실용화되면 현재 기술적인 한계에 도달한 컴퓨터의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고,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멀리까지 잘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광
전송
분야에 집중했다. 광자 생성,
전송
과 관련한 연구 이후 박 교수의 최근 관심은 광자로 연산 시스템을 만들려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연구의 수준이 점점 고도화된 것이다.“현재는 나노 광자소자를 이용한 광학 컴퓨팅의 구현 가능성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