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도"(으)로 총 1,5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누구인지를 알아냈다. 이때까지만 해도 누가 범인인지 정황만 있었지 누가 테러를 주도했고, 서로 누구와 연락했는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분석 결과는 화제가 됐다.사회네트워크 분석이란 개인이나 단체, 정보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점과 선으로 연결망을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순서를 밝히는 프로젝트로, 연구결과는 2000년 6월에 발표됐다.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주도하는 수학 유전자 연구중국에서도 지난 2012년부터 수학 유전자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 베이징유전체연구소는 19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스티븐 추 교수(중국계 미국인)와, 영국의 유전학자인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bioengineering)의 이진형 교수는 공학과 의학, 생물학을 넘나드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자’다. 서울대(학사)와 스탠퍼 ... 결과물일뿐이다. 융합형 인재는 스스로 품게 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주도적으로 고민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 ...
- 안절부절 당신, 스마트폰은 무죄!과학동아 l2014년 08호
- 5분을 기다리는 것이 너무 괴로워 차라리 전기 자극을 택했다”는 후기를 남겼다.연구를 주도한 티모시 윌슨 박사는 “사람들이 세상과 단절되어 있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한다”고 밝혔다. 즉 분주한 현대사회나 스마트폰이 사람들을 가만있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다(➋). 그 아래는 중간에 있는 이온이 형광을 내지 않아 검게 보이는 모습(➌).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김태현 박사가 말했다. 미국 MIT에서 양자광학과 입자물리학을 공부한 뒤 듀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며 이온트랩을 연구한 전문가다. 그가 공부한 듀크대는 양자컴퓨터계의 ‘고수’중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는 미국은 방 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항공우주국(NASA)이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행성에서 무인 건축 작업, 무인정찰용 군용차량 행렬 통제, 로봇 정찰 소대 제어, 지뢰의 최적탐지 행동, 변화하는 환경에서 목표물 추적 등을 연구하고 있다. 아직까지 군집로봇은 ...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역임한 수학자로, 1950년대에 핀란드의 대학이 컴퓨터 연구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983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된 제19회 세계수학자대회에서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로버트 타잔이 처음으로 수상했다. 이 상은 세계수학자대회 때마다 프로그래밍 언어, 알고리즘 분석,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국내에서 유일하게 화학분야 국가과학자인 김광수 교수와 펄스분광학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막스본 프로젝트’의 리더인 토마스 슐츠 교수 등도 UNIST 화학 트랙에 둥지를 틀었다.이들은 앞으로 대학생에게도 세계적인 연구에 참여할 기회를 열 계획이다. 루오프 교수는 “대학생 시절에 학교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기술’인 직접교차분화, 앞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 이후의 리프로그래밍 기술을 주도할 것이다.“99.99% 이상 분화시켜서 극복할 겁니다.”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에서 테라토마가 생길 위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동률 교수는 ‘정면돌파’를 말했다. 복제배아줄기세포의 분화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심하게 구겨도 안전하게 작동하는 리튬이온전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를 주도한 이상영 UNIST 친환경에너지공학부 교수는 이온전도도가 좋은 ‘플라스틱 크리스탈 전해질’을 이용했다. 이 전해질에 고분자를 만드는 물질인 ‘단량체’를 혼합한 뒤 PET 고분자 틀 안에 넣고 20초간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