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
진행
진보
진척
향상
공정
전진
d라이브러리
"
진전
"(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약물치료와 방사선치료로 장기 생존할 수 있다.소세포폐암은 조기에 전이가 잘돼 병세의
진전
을 쉽게 단정할 수 없지만, 다행히도 약물치료와 방사선치료에는 민감하다. 지난 10년간 약물치료와 함께 흉부 및 두부의 방사선치료가 표준치료였으나, 아직 치료성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 ...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참여를 촉진시키게 될 것이다.이밖에도 정보사회의 주요한 현상으로는 △고령화 사회의
진전
△여성의 사회 진출증가 △레저 및 소비의 다양화 △이상적인 참여 민주주의 실현 등 인류가 추구해 온 모든 꿈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보사회 초입에 들어섰다이러한 정보사회는 언제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안약등도 판매되고 있지만 그 효능이 정확하게 증명된 바는 없다. 정보사회의
진전
과 더불어 TV나 컴퓨터의 화면을 대하는 시간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더구나 비디오나 게임기 앞에 몇시간씩 매달려 있는 어린이들을 생각할 때 VDT증후군의 심각성을 날로 더해갈 전망이다.VDT의 규제에 대해서는 ... ...
벌레소리 듣는 뇌는?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우뇌·좌뇌 논쟁'이 일본에서 불을 뿜고 있다. 일본인은 벌레소리를 좌뇌로 듣지만 서구인은 우뇌로 듣는다는 등 뇌기능의 차이료 이론화 ... 알려져 있다. 이 논쟁이 어떻게 결론날지 모르나 과학이 최고도로 발달된 오늘날에도 전혀
진전
이 없는 뇌연구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
기술장벽 뛰어넘는 호기로 삼아야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소련의 1백개 첨단기술목록을 과기처에 제시했다.한소 과학기술교류가 이처럼 급
진전
되자 과기처는 6월초에 서둘러 KIST 등의 전문가 2백여명을 동원해 연구팀을 구성하고 철야로 자료를 분석, '소련첨단기술분석보고서'를 만들어 냈다.이 보고서는 △소련의 14개 국책과제 △소련측이 제시한 ... ...
Ⅰ 호르몬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연구분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 분야에 꾸준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 큰
진전
은 없다.일단 호르몬이 수용체에 포착되면 세포내에 다양한 2차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일련의 2차적인 세포내 변화는 복잡다기하고, 세포에 따라서 반응양상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잘 밝혀지지 ... ...
고감도 우주망원경에 심각한 영향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낮에는 천문관측 활동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방사선 보호장치 개발 시급보다
진전
된 방법은 처음부터 방사선 영향을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특수 회로를 설계해 방사선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거짓 정보를 참 데이터와 구별해 내는 원리다.또 특별 센서와 전자회로장치를 이용,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혈중 포도당농도가 0.2%에서 0.12%로 약 40%가 감소하는 게 아닌가. 실험이 성공리에
진전
돼 가자 맥클레오드는 두 사람이 중대한 발견을 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훈련된 생화학자가 필요하리라 생각하고는 콜립(J.B. Collip)을 실험에 참가하도록 했다. 콜립은 수많은 시행착오끝에 1922년 ... ...
파이오니어-내 어깨에 지워진 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기껏해야 85년 전반기까지의 내용이 담겨 있을 뿐이다. 그 이후 5년간의 엄청난 학문적
진전
은 교수님이 소개해 주시는 몇 편의 최근 논문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니, '장님 코끼리 만지기'가 아닐 수 없다.이런 상황에 유전공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학문과 나를 돌아보는 글이라니… 이과적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이처럼 VDT 증후군이 불분명하게 인식되는 이유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매우 더디게
진전
되기 때문이다. 최근에서야 부분별로 연구결과가 조금씩 성과를 보이고 있고 대처방안 등이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있을 뿐이다.VDT 증후군 중 가장 먼저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경견완(頸肩腕)장해다. 말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