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뉴스
"
내부
"(으)로 총 4,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수명 3배 늘린다…새로운 리튬 복합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결과가 게재된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1월호
내부
표지.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리튬의 성장을 안정화해 기존보다 안전하면서도 기존 소재 대비 수명이 3배 이상 우수한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차세대 리튬이차전지로 주목받고 ... ...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강한 파동을 만든 뒤 해저 지형에서 반사·굴절돼 되돌아오는 파동을 기록해 지구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탐사 방법이다. 파동은 딱딱한 암석이 아닌 액체나 기체와 만나면 반사파가 강해진다. 반사파의 변화 양상을 기록하고 분석해 해저 지형과 석유나 가스 등 자원의 존재, 위치를 알아낸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의사가 전보다 적은 노력으로 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으로 몸
내부
를 직접 보고 관찰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위 이외에 큰창자(대장)와 같은 소화기계통은 물론 기관을 포함하는 호흡기계통, 방광을 포함하는 요로 계통, 여성의 자궁 등을 내시경으로 관찰할 수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탈출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날아온 고체와 충돌하면 스푸트니크 평원과 유사한 이질적인
내부
구조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에 알아낸 충돌 메커니즘은 명왕성과 스푸트니크 평원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행성계 외곽 차가운 얼음 세계의 특성을 알아내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가 될 것 ... ...
물 분해로 암세포 사멸 유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발견했다. 우리 몸에 발생하는 유해한 산소인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광감각제가 암세포
내부
의 막 단백질을 산화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방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태혁, 민두영 화학과 교수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논문을 1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 ...
실험실 바닥에 갈라진 틈이…양자컴 '큐비트' 예술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문세영 기자. STM과 같은 초정밀 실험 장비를 다루려면 주의력과 집중력이 필요하다. 장비
내부
에 손가락이 닿거나 외부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실험 성패가 엇갈릴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연구단은 폐쇄적인 환경을 유지할 것 같지만 오히려 대중에게 공간을 오픈했다.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 ...
인체
내부
서 완벽하게 성장하는 이식용 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피부의 구조를 나타낸 그래픽.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자들이 이식된 다른 종의 피부를 생체 내에서 완벽하게 성장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피부 이식은 심각한 피부 상처를 치료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상처가 심한 경우 충분한 피부를 채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인공 이식용 피부는 모낭과 ... ...
VR로 미리 보는 '간암수술', 환자 불안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때문에 환자는 입체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VR 기기를 이용해 투명도를 조절하면 간
내부
를 들여다보면서 의료진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의료진은 간의 3D 모형을 실제 수술을 하듯 잘라낼 수 있고 환자는 여러 각도에서 어떤 방식으로 간암 수술을 하는지 볼 수 있다. 간의 역할과 간세포암이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소용돌이 모양 등 다양한 분극 분포가 발생하는 것이 확인됐다. 강유전체의 크기에 따라
내부
소용돌이 모양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양용수 교수팀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20년 전 소용돌이 분극을 이론적으로 처음 제시했던 로랑 벨라이쉬 미국 아칸소대 ... ...
[극한호우, 우리]④ '녹색 스펀지'가 된 베를린…홍수 방재에 오염수 정화까지
2024.05.30
우선 옥상 녹화 시설에 1차적으로 빗물이 흡수됩니다. 미처 흡수되지 못한 비는 건물
내부
의 배수관을 따라 이곳 정원으로 내려와 땅속으로 흡수되죠. 정원 아래엔 지하 주차장이 있습니다. 땅속으로 흡수된 빗물이 주차장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벽면을 잘 막아 뒀어요." 좀머 박사는 루멜스부르크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