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otch
쇠뇌
소모증
노들나루
나루
가마
대장간
뉴스
"
노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으로 본 정현의 '테니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18.03.13
또 프레임이 유연할수록 진동수가 작기 때문에 라켓을 쥔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노
교수는 “공과 충돌 직후 라켓은 진동운동, 병진운동, 회전운동을 한다”며 “스위트 스폿에 공이 맞는 경우 진동은 없지만,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으로 인해 라켓이 손잡이 부분을 회전축으로 역회전하는 ... ...
허벅지가 두꺼워? 다이어트 안할거야
팝뉴스
l
2018.02.28
” 25살이며 키가 161cm인 데미 로바토. 그녀는 살을 빼서 날씬한 다리를 만들려는
노
력은 어리석고 의미도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그녀도 사실은 다이어트를 시도한 적이 있는데 최근 포기했다고 한다. 그리고 살이 더 쪘다. 그러나 지금이 훨씬 행복하고 자신감에 넘친다는 설명이다. ... ...
“암호화 화폐는 화폐 아니다. 용어 잘못됐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1.30
블록체인을 구성한다고 해보자. 해커는 소수의
노
드만 해킹하면 된다. 수십만, 수백만의
노
드가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은 해킹이 불가능하지만 소수끼리 구성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해킹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가치를 실현하는 형태는 퍼블릭 블록체인입니다. 프라이빗을 키우겠다는 정부의 ... ...
짜게 먹는 당신, 뇌 손상에 주의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16
장애와 치매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새롭게 나왔다. 코스탄티
노
아이어데콜라 미국 코넬대 의대 교수팀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할 때 뇌 기능에 저하가 일어나는 구체적인 과정을 쥐 실험을 통해 밝혀 뇌과학 국제 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 15일자에 발표했다. ... ...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않도록 큰 골반을 가진 점 등이 그 증거다. 연구진은 이 공룡의 크기가 약 70cm이며, 티라
노
사우루스와 같은 수각류 공룡이라고 결론 내렸다. doi:10.1038/nature2467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
노
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1초에 0.1mm를 이동해 비교적 빠른 속력을 자랑하지만 로봇의 몸통 자체도 그만큼 커서 나
노
로봇에 비해 이동 효율은 낮은 편이다. 연구자들은 미세한 칼이나 집게를 부착해 눈 수술이나 뇌 수술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
과학동아
l
2017.12.01
열을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세포에 칼슘이 너무 많으면 SERCA2b가, 반대로 적어지면 리아
노
딘수용체-2가 에너지를 사용하며 칼슘을 퍼내고 끌어온다. 연구팀은 온도가 낮아지면 두 단백질이 한꺼번에 작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체온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생강에도 SERCA2b를 활성화 ... ...
[나
노
영챌린지 2017] 물리학도들의 양자컴퓨터 도전기
과학동아
l
2017.11.30
한국나
노
기술원 전문가들이 멘토로 나섰다. 아주대 팀은 수원에 위치한 한국나
노
기술원에서 아이디어를 검증해 볼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로 사용할 가능성을 확인하려면 원하는 특성이 80%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야 ... ...
“신재생에너지 확대하려고 원전 없앨 필요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무조건 나쁜 것’이라는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정책이 아닌 이념”이라고 비판했다.
노
실장도 “에너지 믹스 정책은 나라별로 에너지 여건과 형편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며 “미국, 영국 등은 원전이 태양광, 풍력보다 비싼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자원이나 지리적 여건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
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결과 치료 자체의 질이 높아지는 건 물론이고 플라시보 효과도 최대로 누릴 수 있고 반면
노
세보 효과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서울대병원이야 국립이니 이렇게 하다 적자가 나도 세금으로 메워주니 무슨 걱정이냐는 냉소적인 시선도 있지만 방향은 제대로 잡은 게 아닌가 하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