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뉴스
"
동료
"(으)로 총 1,25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 이중나선 발견에 가려진 ‘암흑여사(dark lady)’ 프랭클린
2021.01.21
이 책에서 왓슨은 프랭클린을 성격 나쁘고 사회성 없는 여성으로 묘사하는가 하면
동료
과학자로서 재능을 평가하기보다 외모 위주로 기술하기도 했다. (다만 후기에서는 프랭클린을 후하게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 프랭클린과 관련된 내용 때문에 오히려 프랭클린의 자료가 없었으면 ... ...
"남아공발 변이 코로나, 기존 항체로 못막아…재감염 우려"
연합뉴스
l
2021.01.21
때문에 심각한 재감염 위험이 부상하게 됐다"고 말했다. 다만 이 연구 결과는 아직
동료
검토(peer review)를 거치지는 않았다. 남아공 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50%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달 말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된 것을 기준으로 20개국 이상에 퍼졌다. 남아공 변이는 ... ...
"LA서 발견된 코로나 변이바이러스에 지역 환자 3분의 1 이상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모습.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작년 7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발견된 변 ... 연구 내용을 논문 사전 공개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에 이달 14일(현지 시간) 발표해
동료
검토를 기다리고 있다 ... ...
코로나 신규 확진 404명...당국 "감소추세지만 언제든 집단발생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반면, 확진자 접촉에 의한 발생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족‧지인‧
동료
등 일상 속 접촉에 의한 개인 간 감염이 언제든지 집단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해외에서 유입된 확진자는 전날보다 4명 줄은 31명이다. 이 중 1명은 입국 검역과정에서, 나머지 30명은 지역 거주지나 ... ...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로 재감염 우려 커져...백신 업데이트 필요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항체 수준을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 연구는 아직
동료
들의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 마나우스에서 발견된 P.1의 경우 집단면역이 이뤄진 것으로 보이는 지역에서 나왔기 때문에 우려를 더하고 있다. 영국의 B117과 마찬가지로 브라질의 ... ...
[코로나 1년] "퇴원환자 감사인사가 버팀목" 최일선 전장에 선 간호사들
연합뉴스
l
2021.01.13
약물 등 처치를 거부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양 간호사는 의료진의 임무를 잊지 않고
동료
들과 함께 설득을 거듭하며 이 환자를 어렵게 퇴원 길로 인도했다. 종교적 신념을 내세워 현대 의학을 거부하는 사례를 접한 것도 처음이어서 황당했지만 직접 환자에게 음식을 떠먹이면서까지 본분을 ... ...
화이자 백신, 영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과 확인돼
2021.01.10
사전공개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에 이달 7일(현지시간) 공개됐고 아직
동료
과학자들의 검증을 받지는 않았다. 영국에서 지난해 9월 발견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B117'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B117 변이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할 때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 ...
"관절염약 코로나19에 효능" 영국 처방 시작(종합)
연합뉴스
l
2021.01.08
9 중증환자 치료 효과가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이번 연구 결과는 아직
동료
평가를 거치지 않았다. 피터 호비 옥스퍼드대 교수는 이 결과를 반기면서 지금까지는 면역조절제인 덱사메타손 등만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호비 교수는 토실리주맙 등은 심각한 상태 환자에게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잡았다. 그때가 폴링이 알파나선구조를 밝혀낸 1951년이었다. 거기서 왓슨이 만난 운명의
동료
가 프랜시스 크릭으로, 왓슨보다 12살 연상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다. 왓슨은 1928년생, 크릭은 1916년생이니까 1951년이면 왓슨이 23세였고 크릭이 35세 되던 해였다. 원래 물리학을 전공했던 크릭은 세계대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평가가 담겨있었다. 배양육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터프츠대 데이비드 카플란 교수와
동료
들은 논문에서 ‘식물고기(plant-based meat)’과 ‘세포고기(cell-based meat)’ 개발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최근에는 배양육보다 세포고기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이에 따르면 기존 진짜 고기는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