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뇌간과 소뇌에 농도가 높다고 한다. 한편 세포 안에 자철석 결정이 잔뜩 들어있는
박테리아
가 발견됐고 이를 이용해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연어류나 바다거북도 몸 안의 자철석 결정으로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길을 찾는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아직 사람의 ... ...
장까지 살아서 가는 유산균의 방패는 '착한 바이오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상당수가 죽는다. 중국 제지앙공샹대 식품과학및생명공학과 연구팀은 일부 병원성
박테리아
가 바이오필름을 덮어 항생제로부터 살아남는 것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친생물 재료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막으로 바이오필름의 구조를 흉내 내 나노섬유막을 만들었다. 나노 단위의 얇은 막으로 ... ...
"아토피 피부염은 '소금' 탓"…특정 세균 만나 알레르기 유발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많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은 추후 이
박테리아
가 필라그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필라그린이 음식 알레르기를 어떻게 유발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 ...
내가 우울한 건 ‘장내 미생물’ 때문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장내미생물이 우울증과 다발성 경화증, 치매 등의 질환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사진 제공 미국국립인간게놈연구소 ... 사이의 관련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팀 역시 이 발견을 역이용해 해당
박테리아
를 장 안에 공급할 경우 증세를 개선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스모그 먹고 자란
박테리아
가 미세먼지 된다
과학동아
l
2019.02.05
미세먼지 입자로 활동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야오 교수는 “우리가 분석한 데이터는
박테리아
가 베이징 스모그 형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을 가리킨다”며 “이 연구가 향후 대기오염 관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바이오아카이브’ 1월 7일자에 게재됐다. doi:10.1 ... ...
실험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4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2년 동안
박테리아
의 생존능력은 유의미하게 줄어들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진은 논문에서 “이와 별개로 진행한 다양한 단기 저장 실험 결과, 우주와 유사한 진공 상태와 높은 염분은 생존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 ...
ISS로 간 식중독균, 우주 생활 적응 중
과학동아
l
2019.02.01
ISS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주 환경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하트만 교수는 “
박테리아
가 항생제 내성이나 독성과는 관련이 없어 ISS 우주비행사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유전자분석 전문 저널 ‘엠시스템즈(mSystems)’ 1월 8일자에 게재됐다. doi:10.1128/mSystems.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분해하는 곤충을 발견했다. 지난해에는 영국과 중국 등에서 플라스틱 분해 곰팡이나
박테리아
를 발견하거나 효소 구조를 밝혔다. 이 분야는 한국도 선도국가다.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은 PET 분해효소의 구조를 밝혔고 활성을 개량했다. 또 발상을 바꿔 자연 분해가 쉬운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전자현미경을, 제프 보에크 미국 뉴욕란곤의료센터 시스템유전학연구소 소장이 자연
박테리아
게놈을 모사한 인공 합성게놈을 2019년 주목해야할 기술로 선정했다. 또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영국 왕립학회 회장은 단백질 복합체의 역학과 생화학적 비밀을 밝힐 수 있는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 ...
해조류에게 배운다…세균까지 차단하는 신개념 오염방지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오염방지막 소재로 거듭났다. 선가현 연구원은 “수막 덕분에 미세표면에 찔려 죽은
박테리아
가 쉽게 물로 씻겨 나갈 수 있다"며 "미세표면과 피막을 이용해 이중으로 오염을 막을 수 있어 다양한 세균에 대응할 수 있고, 긁히거나 손상돼도 기능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