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휴대전화 기지국 ‘스몰셀’ 국산화 성공
2015.06.22
이를 점검하기 위한 개발 플랫폼, 그리고 휴대전화 전파 형태를 조정하는 ‘
빔
포밍 고집적 다중안테나(Compact MIMO)’를 하나로 묶어 이 기술을 개발했다. 스몰셀은 초소형 기지국으로 휴대전화 통신망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 기지국을 이용해 인터넷에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영상을 얻기는 어렵지만, 최대 반경 150m 정도의 광대역을 볼 수 있다(1). 128개의 초음파
빔
으로 초당 4~30프레임의 실시간 영상 촬영이 가능한 초음파 카메라(2)가 물속에서 실질적인 눈 역할을 한다. 철제 솥을 옮기는 등 세밀한 집게발 작업을 할 때는 광학카메라(3)를 이용한다. - ... ...
20살 하나로 원자로…한국 연구용 원자로 기술 산 증인
2015.05.12
반도체 생산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핵반응시 쏟아져 나오는 중성자
빔
이용 분야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성자는 튀어나오는 속도에 따라 열중성자, 냉중성자 등으로 나뉘는데, 성질이 각각 달라 활용 목적도 다르다. 원자력연구원은 기존의 열중성자 산란장치에 더해 ... ...
분필가루 날리는 칠판은 옛말, ‘자성칠판’ 상용화 임박
2015.04.22
사용하고 있지만 컴퓨터 시스템이라 오작동이 잦다. 커다란 액정표시장치(LCD)나
빔
프로젝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에너지 소비가 많은 것도 단점이다. 자성칠판은 차세대 전자출판 기술인 ‘전자종이(e-paper)’와 원리가 비슷하다. 한쪽 면엔 검은색, 다른 쪽엔 하얀색을 칠한 ... ...
백혈구 위치 초당 60번 확인… 세포단위 검사·치료 가능해졌다
2015.04.21
위치를 옮겨 놓을 수 있는 기술은 기존에도 있었다. ‘광학 집게’란 기술로 레이저
빔
을 집중시키면 자석에 철가루가 끌려오듯 주변의 미세입자들이 달라붙는 원리다. 초점의 위치를 옮기거나 힘을 가해서 미세입자의 3차원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 교수팀은 이렇게 포획한 입자의 ... ...
‘신의 입자’ 찾은 가속기 ‘시즌2’ 시작
2015.04.10
1만1125바퀴를 돌고, 이 과정에서 초당 6억 개의 입자를 생성한다. 이때 이동한 양성자
빔
의 거리는 100억 km 정도로 지구와 해왕성 사이를 왕복하는 수준이다. ... ...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직경이 1m에 불과하다. E-ELT의 육각형 거울(좌)과 내부 구조(우). 수많은 철제
빔
이 크고 무거운 거울을 받치고 있다. - ⓒESO/H.-H. Heyer 제공 반면 반사망원경은 여러 장의 작은 거울을 이어 붙여서 큰 거울처럼 쓸 수 있다. 또 주경에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하는 작은 거울인 '부경'을 여러 장 이용하면 ... ...
기초연구 보고 ‘중이온
빔
’ 국내 발생 첫 성공
2015.03.12
기대하고 있다. 원미숙 부산센터 소장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중이온
빔
가속 실험을 국내에서도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연구동을 건립하고 학계 및 산업계와의 공동 활용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28GHz 초전도 ECR 이온원 및 중이온 가속기 개념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
“빅뱅 후 3분 우주에 무슨 일 있었나 확인”
2015.03.06
라온은 2021년 완공 예정이다. 동시대 가속기 가운데 가속에너지나 희귀 동위원소
빔
에너지 등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라온과 ‘선의의 경쟁자’ 격인 미국 미시간주립대의 중이온가속기 ‘에프립(FRIB)’은 2020년 완공된다. 정 단장은 “라온 운영을 시작하면 세계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위해서는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게 가장 유리하다. 전자기파방식은 에너지를 가진 전파를
빔
처럼 쏘아 보내 수 십 km 이상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미국은 이 기술로 날아가는 비행기에 전력을 보내는 실험을 수차례 성공시켰다. 또 우주에서 대형 인공위성으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