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142건 검색되었습니다.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펼치고 있다. 젊은의학자부문에는 박용근 교수와 최홍윤 교수가 선정됐다. 박 교수는
세포
및 조직을 염색 없이 고해상도 3D(3차원) 영상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홀로토모그래피’ 원천 기술을 개발해 바이오이미징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홀로토모그래피의 ... ...
암
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표적으로 삼아 정상
세포
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
세포
에서만 유전자 절단을 유도했다.
세포
증식을 69.7% 감소시켜 암 표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연구를 이끈 김경미 교수는 “eCas12f1에 탈아미노효소나 전사조절인자를 융합함으로써 아데노신 염기 편집과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 ...
BCI칩 이식한 마비 환자, 게임에서 드론 정밀 조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장애물 코스를 수행하고 있다. Willsey et al.(2025)/Nature Medicine 제공 연구팀은 뇌 신경
세포
(뉴런)들의 전기 활동 패턴을 지속적으로 기록해 복잡한 움직임을 번역할 수 있는 BCI를 개발했다. 척수 손상으로 사지마비를 겪고 이번 연구에 참가한 69세 남성 환자는 이미 2016년에 오른손의 움직임 제어를 ... ...
한국인 DNA에 새겨진 변이 8개 발견…인간 유전체 진화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DNA에 남아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연구팀은 변이가 인근에 남긴 흔적을 바탕으로
세포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DNA 복구 방식 중 어떤 방식이 변이를 형성한 것인지 진화 과정을 역추정하는 데도 성공했다. 제1저자인 조수복 생명연 전임연구원은 “고품질 인간 유전체 서열 정보를 활용해 한국인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결과에서도 약 80%에 달하던 신경
세포
의 심각한 구조적 손상이 5% 이하로 감소하고 신경
세포
의 사멸도 약 10배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조 리더는 “전 세계적으로 단백질 공학을 활용한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면서 “이번 연구는 단백질 공학의 가능성을 확인한 ... ...
국내 첫 RSV 백신 출신…지속기간 길고 성인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길랑-바레 증후군은 뇌신경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는 원인 불명의 염증성 질환이다.
세포
매개 면역반응이나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손상된 DNA 복제 재개 시점 조절 단백질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빠르게 일어났다. 돌연변이
세포
는 Ub-PCNA의 양이 줄고 스트레스 상황에 취약해져
세포
사멸률이 높아졌다. BAZ1B가 ATAD5와 상호작용해 탈유비퀴틴화 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복제 과정에서 DNA 손상 부위를 우회하기도 전에 Ub-PCNA의 탈유비퀴틴화가 일어나면 염색체 복제가 손상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
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연구를 이끈 강경진 책임연구원은 “전기연접 억제의 분자적 기전을 규명해 신경
세포
간 정보처리의 새로운 방식과 이를 활용한 뇌의 복합적인 정보처리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초파리를 통해 앞으로 뇌 정보처리의 한 축을 담당할 신경연접 전달 기전을 더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을 ... ...
AI 유전자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노화 과정에서 증가하는
세포
나 인자를 표적으로 제어하는 '항노화 항체치료제'와
세포
내 단백질이나 분자를 인위적으로 접착시켜 새로운 생명현상을 유도하는 '분자 접착기술'도 편집‧리프로그래밍 유망기술이다. 생명체 특성과 기능을 모사·합성하는 영역에서는 '살아 움직이는 생물학적 ... ...
스트레스로 생긴 혈관 내
세포
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동맥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정했다"며 "스트레스가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수준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스트레스 관련 심혈관 질환의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