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58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사 바늘로 수술없이 뇌질환 진단 '생분해성 전자 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된다. 연구팀은 또 전자 텐트를 활용해 동물 모델의 뇌에 전극을 삽입하고 2주 간 뇌파
신호
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전자 텐트가 생분해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장기간 모니터링해 체내에서 활용 할 가능성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생분해성 전자 텐트는 난치성 뇌전증 및 파킨슨병 진단 등 ... ...
심장·뇌심부 생체 전자소자, 3D 프린팅으로 자유롭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병을 진단·치료할 수 있는 소자다. 기존 2차원(2D) 전극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뇌심부
신호
를 측정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스티브 박 신소재공학과 교수, 박성준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3D 프린팅으로 다양한 모양의 생체 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는 전도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발화 문턱이 높아져 활성화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속이 비어 먹을 때가 됐다는
신호
가 와도 식욕 촉진 뉴런이 약하게 반응해 안 먹거나 덜 먹게 되는 것이다. 실제 RNA간섭으로 VEGFA를 덜 만들게 한 생쥐는 고온에 노출되고 먹이 섭취량이 덜 줄었고 VEGFA 분비를 차단하는 약물을 처리한 ... ...
뇌 전기 자극으로 식욕 억제 가능성…비만 치료 새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자극기를 이용해 실험을 실시했다. 이번 실험에는 연구팀이 개발 중인 ‘경두개 불규칙
신호
자극(tRNS) 기술이 활용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기술은 특정 부위에 알맞은 전기 자극을 정확하게 줄 수 있으면서도 전극이 머리카락 사이 공간으로 잘 침투해 두피에 접촉할 수 있다. 60명의 여성 ... ...
잠 부족하면 학습능력·기억력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세스 그랜트 에든버러대 교수는 "시냅스가
신호
를 보내는 데 사용하는 화학물질, 신경전달물질 종류가 다양하며 뉴런 주변 단백질의 구조와 구성도 다채롭다"며 "연구팀은 뇌의 이같은 다양성을 스냅샷으로 찍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을 ... ...
유튜브 보면서 밥 먹는 습관, 정말 몸에 나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연구팀은 흥미로운 이야기에 빠져 있으면 식사할 때 주의력이 떨어져 배가 부르다는
신호
를 인지하지 못해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TV를 보면서 밥을 먹으면 무엇을 얼마나 먹었는지 추정하기 어려워 나중에 추가로 음식을 먹게 된다는 연구도 있다. 2021년 네덜란드 ... ...
‘인공 미니 망막’으로 망막 기능 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시각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조직 중 하나인 망막은 눈으로 들어온 빛 자극을 전기적
신호
로 변환해 뇌로 전달한다. 주요 실명 원인 질환인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등은 모두 망막에 발생하는 질환들이다. 줄기세포를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만든 오가노이드는 ‘미니 장기’로 불리기도 ... ...
냉면 먹을 때 '찌릿' 시린 치아, 스케일링해도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있다. ‘시린 이’ 탓이다. 이가 시리다면 치아 건강이 나빠졌다는 경고
신호
다. 강민나 인천성모병원 치과 교수는 “시린 이는 본격적인 통증의 전 단계”라며 “얼음 위에 손을 올리면 처음에는 차갑다는 느낌이 들지만 시간이 지나면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말했다. ... ...
큰갈색박쥐, 나이 들어도 '쌩쌩한 청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든 박쥐에서 청력 손실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인간은 달팽이관에서 소리를 신경
신호
로 전환하는 유모세포(hair cell)가 죽는다. 이는 노화에 따른 청력 손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이 조사한 젊은 박쥐와 늙은 박쥐에서는 유모세포와 신경 분포 패턴이 비슷했다. 청각기관의 조직 ... ...
8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창석 교수…악천후에도 문제없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환경에서만 성능이 유지돼 도로 자율주행의 해결 과제로 꼽힌다. 김 교수팀은 장거리
신호
감지에 유리한 광통신용 레이저와 가변대역이 넓은 의료용 레이저 장점을 결합한 아이디어로 '하이브리드 컬러변조 레이저 광원'을 설계했다. 컬러변조 레이저는 겉보기에는 백색 빛과 비슷하지만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