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판
간행
발행
발간
간행물
뉴스
"
출간
"(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괴물 군단 물리치는 메시, 루니, 호날두?
2015.01.25
교수도 ‘인터스텔라의 과학’이란 제목으로 책을 펴냈는데, 국내에도 이달 초 번역돼
출간
됐다. 이런 인기는 영화계 뿐 아니다. 지난해 2월 EBS에서 애니메이션으로 첫 방영 돼 인기를 끌었던 ‘허풍선이 과학쇼’는 지속적인 인기를 끌자 최근 과학 붐을 타고 다시금 재방영을 시작했다.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72세로 사망하기 2년 전인 1954년 4판이 나왔다. 2008년 나온 번역서는 4판을 바탕으로 2005년
출간
된 개정판을 옮긴 것이다. 수년 전 책을 읽으며 “이 책은 의심의 여지없이 내가 이제까지 읽어본 수학의 발전에 관한 책 가운데 가장 흥미롭다”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추천사가 접대성 멘트가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글에서 끈이론과 다중우주론에 대한 비판적 문헌으로 소개한 참고문헌을 보니 2006년
출간
된 ‘Not Even Wrong’이라는 책이 눈에 띈다. 물리학을 공부하다 수학으로 전향한 피터 보이트라는 사람이 쓴 책으로 알고 보니 2008년 ‘초끈이론의 진실’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도 번역됐다. 필자의 해석이 ... ...
드디어 나왔네요, 인터스텔라의 과학
2015.01.04
‘아바타’ 이후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은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r)’의 해설서가
출간
됐다. ‘인터스텔라’ 기획 단계부터 영화에 참여해 ‘진짜’ 물리학 이론을 시나리오의 토대로 제공한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가 저자다. ‘킵 손’이라는 이름만으로도 허무맹랑할 것 같은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세계사와 함께 보는 타임라인 한국사’ ‘민음 한국사’ 등 다양한 시리즈를
출간
한 인문기획집단 문사철의 강응천 대표가 기획을 맡았다. 시리즈의 첫 권 ‘보스포루스 과학사’는 과학의 역사를 인문학으로 풀어낸 인문과학 교양서다. 인류의 탄생부터 현대 과학기술의 융합까지 과학사의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강석기 제공 그런데 지난 8월 ‘The Myth of Mirror Neurons(거울뉴런의 신화)’라는 제목의 책이
출간
됐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인지과학과 그레고리 힉콕(Gregory Hickok) 교수가 쓴 책으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 만연돼 있는 거울뉴런 만능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오늘날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생겼다고 한다. 저자 소개란을 보니 지난 7월 ‘Get Up!(일어 서!)’이라는 저서를
출간
했다고 한다. 의자라는 살인무기에 둘러싸여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한번 읽어볼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 ...
32일 된 태아가 품은 1억 년 진화의 비밀
2014.11.09
세상을 떠나며 남긴 마지막 작품 ‘태아의 세계’의 번역판이 이번에 국내에 번역,
출간
된 것이다. 이 책은 태아에 대한 해부 정보와 비교해 인간의 발생을 철학적으로 엿본다. 미키 시게오는 수정된 지 32일 된 인간 태아 표본을 바라보던 중, 마치 상어와 닮았다는 느낌에 다양한 태아 표본을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얽었던 그의 첫 번째 저서 ‘한 눈에 쏙! 생물지도’ 에 이은 또 다른 책이다. 책의
출간
배경에 대해 김 교수는 ‘철학자와 우연한 만남’을 꼽았다. 교양과목에서 철학 강사를 만났는데, 그가 김 교수에게 자신의 저서를 건넸다는 것이다. 이때 인연을 계기로 김 교수와 이 철학자는 종종 만났다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것. 참고로 이 책의 부제는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이다. 최근 번역
출간
된 책 ‘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에서 미국 뉴욕대 마틴 블레이저 교수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인류에게 나타난 현상인 급속한 키 증가 추세를 영양상태 개선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