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스페셜
"
관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눈이 없는 동굴물고기(아래)가 됐다. 2013년 린드퀴스트는 이 과정에 열충격단백질(Hsp90)이
관여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 사이언스 제공 2013년 린드퀴스트는 하버드대 클리포드 타빈 교수와 함께 동굴물고기가 Hsp90이 감당할 수 있는 선을 넘은 스트레스로 인한 탈수로화의 예임을 밝혔다. 중미의 작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과제를 던졌다. 이듬해 역시 중국계 미국 물리학자인 우젠슝은 약력이
관여
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코발트 60의 베타붕괴를 관찰한 결과 방출되는 전자의 스핀이 비대칭임을 확인했다. 즉 왼쪽 스핀인 전자가 오른쪽 스핀인 전자 보다 많이 나왔다. 대칭성이 유지된다면 같은 수로 나와야 한다. 이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없다. 또 해마가 먹이를 씹지 못하고 통째로 삼켜버리는 이유는 동물의 이빨을 만드는 데
관여
하는 유전자 무리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또 후각수용체를 만드는 유전자의 수는 매우 적어 해마는 다른 동물들과 달리 후각보다 시각에 의지해 먹이를 찾는다. 해마의 가장 독특한 특성인 수컷 임신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이상을 보이는 개체를 찾아 분석한 결과 수면 시간에
관여
하는 유전자와 렘수면 시간에
관여
하는 유전자를 찾았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DNA 염기에 변이를 일이키는 약물인 ENU를 처리한 수컷 생쥐와 정상 암컷 사이에서 태어난 8000마리가 넘는 새끼들의 수면 시간과 뇌파를 일일이 조사해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담당한 박테리아인 낫토균(Bacillus subtilis var. natto)을 발견했다. 낫토균은 청국장 발효에도
관여
한다. 낫토균을 비롯한 여러 박테리아가 발의 각질에 있는 성분을 분해해 특유의 냄새가 나는 분자를 만들어낸다. 낫토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 Microbial Cell Factories 제공 ● 1906년 냄새 원인 박테리아 규명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속의 면역세포 정도로 여겨졌다. 그런데 10여 년 전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 가지치기에
관여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시냅스 가지치기는 한 마디로 안 쓰는 시냅스, 즉 뉴런 사이의 연결을 없애는 과정이다. 뇌발달 과정을 보면 뉴런 사이에 시냅스가 어지러울 정도로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가지고 있다. 파괴된 세포의 회복을 비롯해 근육의 수축작용, 신경세포의 신호전달에도
관여
한다. 문제는 '짜게' 먹는 습관이다. 소금의 짠 맛은 구성성분인 염화나트륨(NaCl)의 염소(Cl)에서 나온다.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가 4:6의 비율로 구성돼 있어 소금 1g 섭취하면 나트륨 약 400mg을 섭취하게 된다.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반사반응이 생존에 결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소과에서 냄새를 맡거나 인지기능에
관여
하는 유전자들이 잘 보존돼 있어 식물의 독에 대한 방어메커니즘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양잇과에 속하는 종들은 인간과나 소과에 속한 종들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먹게 한다든가 심지어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소화할 수 있게도 만들었다. 또 대사에
관여
하는 유전자를 끄거나 증폭해 대사경로를 바꿔 아세톤은 덜 만들고 부탄올은 더 만들게 유도하기도 했다. 또 클로스트리디움속(屬)의 다른 종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넓히기도 했다. 오늘날 대사공학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이동에는 여러 종류의 소형 GTP 결합 단백질과 이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GEF 단백질이
관여
하는데, PLEKHG3은 GEF 단백질 중 하나다. 연구진은 63개의 GEF 단백질에 바이오이미징 기술을 적용해 PLEKHG3가 세포의 진행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방향타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광유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