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스페셜
"
유리
"(으)로 총 43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내기업가에 대한 이해와 상생적 토양의 구축
KOITA
l
2013.05.23
독립은 짧은 시간동안의 영광으로만 그칠 가능성이 크기에 사내기업가로 있는 것이
유리
하다. 넷째, 대기업의 경우에도 제품(기술) 아이디어가 좋더라도 시장에서 실패하는 경우는 흔하다. 더구나 조직의 울타리에 있다가 홀로 독립하여 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예측 불가능한 일들 또는 여러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소주나 위스키를 마시는 장면은 자연스러운데 맥주를 마실 때는 영 어색하다.
유리
잔에 보리차를 담았는지 연갈색 액체 위에 거품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잔에 맥주를 막 따르면 거품 층이 꽤 두꺼운데 잡담을 나누다 잔을 들면 거품이 많이 꺼져 있다. 거품을 이루는 방울이 터져서 사라졌기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
KOITA
l
2013.05.06
역사는 화려한 영광 이면에 숱한 좌절과 비극이 점철된 역사다. 최초의 우주비행사인
유리
가가린은 비행훈련 중 추락하여 짧은 생을 마쳤으며 미국은 성급하게 소련을 따라잡으려다 막대한 예산을 낭비해버리기도 했다. 오히려 1960년대 고작 10년이 채 못 되는 기간에 달까지 사람을 보낼 수 ... ...
자연과 함께하는 대전 소풍
KAIST
l
2013.05.03
레스토랑 바로 옆에 위치한 커피전문점‘ 자탄풍’에 가는 것을 추천한다. 벽면이 통
유리
이기 때문에 탁 트인 갑천 풍경을 볼 수 있어 운치를 즐길 수 있다 ... ...
[인물]영화 탄생의 숨은 공로자, 마이브리지
KISTI
l
2013.05.02
연속적으로 이어서 보여주는 ‘주프락시스코프(zoopraxiscope)’를 선보인다. 둥글고 납작한
유리
판의 가장자리에 연속 촬영된 동물의 모습을 붙인 뒤 회전시키면 실제 움직임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장치였다.스크린에 영화를 비추는 영사기의 원형이라 부를 만한 위대한 발명품이 탄생한 것이다. 1893년 ... ...
적자생존 NO!! 이제 낙(樂)자생존~
KISTI
l
2013.05.02
게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것이고, 그 덕분에 면역력이 좋아지고, 그러면 생존에 더
유리
해지고….저 행동에 이렇게 많은 의미가 있는 줄은 상상도 못했어요.” “흔히 동물의 세계는 약육강식과 적자생존만이 지배하는 무시무시한 정글이라고 생각하지. 수많은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통해 강한 ... ...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구현해냈다. 산란 슈퍼렌즈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락카 스프레이를
유리
에 뿌리는 방식으로 제작하였으며 빛이 나노입자 층(
유리
표면의 얇은 페인트 박막)을 통과하여 나오는 산란광의 분포를 파악하고, 임의로 빛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파면조절기(SLM)를 통해 정밀하게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액체크로마토그라피 장치가 연상된다. 찬 물이 한 방울씩 분쇄한 원두가 가득 들어있는
유리
통 안으로 떨어지면 물이 포화되면서 아래로 한 방울씩 떨어져 커피액이 얻어진다. 한번 추출에 보통 12시간 정도 걸린다고 한다. 더치커피는 부드러우면서도 깊은 맛이 나는데 향은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히로시마에 도달한 에너지의 0.3%(=30/10000)에 불과하다. 따라서 폭발로 인한 충격파로
유리
창이 깨지고 사람들이 ‘한여름 햇빛이 쨍쨍할 때 야외에 있을 때 같은 열기’를 느꼈다는 증언이 수긍이 간다. ●유성체와 소행성 사이 이번 유성체 폭발이 더 인상적이었던 건 바로 다음날 소행성이 지구를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전체가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전체 단백질 그룹에 대해 작용하는 후보물질을 찾는 게 더
유리
하죠. 전통적인 방식이라면 전체 단백질에 작용하는 물질은 빼고 연구를 시작해요. 그런데 우리는 거꾸로 전체 단백질 그룹에 작용하는 물질을 모두 후보로 삼았어요. 그러니 더 많은 후보물질을 찾을 수 ... ...
이전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