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스페셜
"
유명
"(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말하라, 기억이여’ 중에서 - GIB 사진 제공 세계에서 가장
유명
한 인시류(나비와 나방) 연구가는 누구일까? 우리나라에서라면 석주명이 떠오르지만 세계로 넓히니 오히려 모르겠다. 사실 필자를 포함해 대다수 사람들은 석주명 외에는 떠오르는 이름도 없을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가운데 포멜로의 기여도가 38%로 가장 높다. 알고보니 키요미(kiyomi, 清見)는 굉장히
유명
한 품종으로 1949년 일본에서 귤(온주밀감)과 스위트오렌지를 교배해 얻은 만다린이다. 포멜로의 기여도가 높은 이유다. 그 뒤 키요미를 기본으로 해서 다양한 품종이 나왔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폰칸과 교배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센서 분자, 지카 바이러스 등의 구조가 극저온전자현미경 기술 덕분에 밝혀졌다.
유명
한 국제학술지 표지 역시 자주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의 모습이 자주 장식하고 있다. 이번 주 네이처의 표지 역시 그렇다. (지난해 11월에도 바이러스의 면역 반응을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국가주도의 체계적인 건강검진이 잘 돼 있는 것으로
유명
한데 여기에 기본적인 유전자 검사를 덧붙이면 금상첨화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 내심 ‘내가 술이 약한 건가?’라고 생각하면서도 습관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당신은 Aldh2 변이형을 하나 갖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것이다. ● 뇌가소성의 중요성 매리언 다이아몬드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뇌 연구로
유명
해졌지만 사실 뇌과학의 역사에서는 이보다 20년 앞서 1960년대 뇌의 가소성을 처음 실험적으로 규명한 연구자로 기록될 것이다. 즉 다이아몬드는 놀이기구 등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활한 쥐가 자극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난소암의 대략 30%가 이 유전자의 변이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제품명 허셉틴으로
유명
한 트라스투주맙은 HER2 단백질에 달라붙어 작용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다. HER2 다음으로 KPNB1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PNB1는 연구가 별로 되어 있지 않은 유전자인데 조사결과 몇몇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알려져 있는 곳에는 불규칙한 자기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영국에서 유령 궁전으로
유명
한 햄튼 코트도 그 중 한 곳인데요. 이러한 자기장을 이용해 두뇌에 자극을 가해 초자연적인 경험을 하도록 한 연구가 있습니다. 캐나다의 신경과학자 마이클 퍼싱거는 두뇌의 측두엽에 다양한 전자기장을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미국의 스타트업 ‘볼트 트레드(Bolt Threads)’는 거미줄을 이용해 옷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
하다. 거미줄을 활용해 옷을 만들면 섬유 생산 공정에 따른 환경 오염을 막을 수 있을뿐더러, 친환경적이다. 또 다른 실크 섬유와 달리 견고하기 때문에 세탁기에 돌려 빨 수도 있어 관리도 쉽다. 볼트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
2017.09.24
본다. 사람들에게 아름다워 보이고 싶어서 다이어트를 하다가 죽음에 이르기도 하고
유명
해지고 싶다고 각종 비합리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하는 등 인간의 소속 욕구는 식욕과도 비견할 만큼 근본적인 욕구라고 이야기 된다. GIB 제공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사회적 욕구가 당연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행동의 차이를 설명하며 ‘정당화한’ 일등공신은 진화생물학일 것이다. 그 가운데 가장
유명
한 게 남자의 바람기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파트너가 있으면서도 끊임없이 다른 여자에게로 눈이 돌아가는 건 남자의 마음이 진화적으로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즉 남자는 정액만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