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응
순화
조화
순종
동화
융통
적합
스페셜
"
적응
"(으)로 총 4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곰이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법
KISTI
l
2013.12.10
때문에 체온을 빼앗기는 면적이 줄어들어 보온에 유리하다. 항온동물이 추위에
적응
하기 위해 덩치가 큰 것은 생태학에서 ‘베르그만의 법칙(Bergmann principle)’이라 한다. 북극곰은 겨우내 겨울잠을 잘까? 이것도 절반은 틀린 얘기다. 북극곰은 겨울에 동면을 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깊은 잠을 자는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거슬러보면 진짜 뛰어난 과학자들은 다 부
적응
자였다”며 “과학성과가 나오는 한 부
적응
자로 사는 것도 좋다”고 말한바 있다. 2000년대 들어 프로펫의 방황은 과학성과가 나오지 않은 결과였을까. 아무튼 프로펫의 거부 3부작 가운데 입덧 가설은 이미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고 알레르기 가설도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의견이 분분하다. 기억을 정리하는 과정이라는 얘기도 있고 대사량을 줄여 환경에
적응
하는 행동이라는 설도 있다. 물론 이런 가설들은 서로 배타적인 게 아니라 잠에 그런 측면이 공존하는 것이겠지만 이게 잠이 생기게 된 주요인이라기에는 뭔가 부족하다. 즉 잠의 기능이 이 정도라면 설사 잠을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역시 한반도에 살았던 표범이 더 낫지 않았을까. 눈표범이야 히말라야 고산지대에
적응
한 표범의 변종인데 굳이 포함한 이유가 무엇일까. 연구팀은 호랑이의 게놈 서열이 고양이와 95.6%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논문에서 둘의 조상이 대략 1080만 년 전에 갈라졌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했다. 아무튼 진화적으로 적합한 고기를 즐기지 않는 필자로서는 어차피 진화적으로 부
적응
상태이므로 다시 우유를 마시고 있다. 그런데 어찌보면 그 일본 의사의 주장대로 정말 어른들은 우유를 먹는 게 바람직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어른들은 우유를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환경 미생물인 유비저균 입장에서도 사람과 만나는 건 일종의 사고다. 서로 진화적으로
적응
이 안 됐기 때문에 감염된 사람을 죽게 할 수도 있지만 결국 자신도 죽기 때문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며칠 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역할로 유명세를 탔던 탤런트 박용식 씨가 갑작스레 별세했다는 뉴스에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즉 22시간을 주기로 낮과 밤 조건을 만든 환경에 놓이면 인체는 그 새로운 일주기에
적응
하지 못하고 계속 고통스러운 생활을 한다는 말이다. 즉 외부 환경 변화는 생체리듬을 거기에 동조하게 만들 수는 있어도 주기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는 말이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달의 주기성도 우리 몸에 ... ...
미래 위험과 복원력
KOITA
l
2013.07.18
이끌고 상황파악을 신속히 하는 대응성(Response), 그리고 다섯째, 사건 발생 후 상황변화에
적응
하는 것을 넘어 정상상태로 조직 역량을 되돌리는 회복력(Recovery)이 복원력 확보를 위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이 일어날지가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일어나고 그런 우울한 날에 대비해 지금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진짜 야생말이 아니다. 사람이 길들여 가축으로 만든 말이 탈출해 자연으로 되돌아가
적응
한 것이다. 프리제발스키가 몽골에서 야생말을 목격하기 전까지 서구인들은 지구상에서 야생말은 멸종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하지만 15세기 독일의 탐험가 요한 실트베르거가 몽골에서 특이하게 생긴 ... ...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사용자 주도형 혁신의 도래
KOITA
l
2013.07.02
기업들에게 자신들의 니즈를 알려주거나, 제품이 개발되면 그것을 자신들의 조건에 맞게
적응
시키는 활동 정도를 수행하는 수동적인 수용자로서 파악되었다. 혁신의 성공 여부는 결국에는 시장에서 결정된다고 이야기되지만 시장에서 최종적으로 혁신제품을 구매하는 사용자가 기술혁신 관련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