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해"(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공학 미래, 의사와 공학자의 소통에 달렸다동아사이언스 l2013.04.15
- 사업에 지원하기보다 기초원천기술에서 산업화까지 전주기적 구도를 가지고 우선순위를 정해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최정우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의료기기는 인·허가 과정이 까다로워 투자가 결과물로 나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세계 시장을 선도할 제품을 ...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12.25
- 연구할 수는 없다는 설명이다. 그는 “정부에서 이런 연구를 지원하고, 그 성과 역시 인정해 주는 등 다양한 평가기준을 모두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대경 중앙대 약대는 “단기간에 가파르게 투자를 많이 하다 보니 이런 문제들이 생겼다”며 “정부기관도 전문성이 커지고, 정책적인 ...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동아사이언스 l2011.05.11
- ‘G7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정보산업, 생명공학, 신소재 등 첨단기술 분야 7가지를 선정해 집중 지원했다. 이로부터 3년 뒤인 1995년부터 생명공학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물들이 하나 둘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교수는 “2000년도 까지 영향력이 높은 잡지에 실린 연구가 10~15편 내외였는데 2000년 이후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동아사이언스 l2011.04.05
- 한다. 3월 초에는 포스텍과 양해각서를 맺고 서로의 연구를 공개했다. 프로젝트를 미리 정해놓는 게 아니라, 서로 교류하면서 접점을 찾고 연구과제를 발굴하려고 한다. 최근에는 연구협력 대상을 병원 연구진으로 확대했다. ▽윤엽(녹십자)=학계와 얼마든지 파트너십을 이룰 의향이 있다는 점이 ...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2010.05.06
-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정영춘=미국에서 이뤄지는 산-학 협동은 기능이 각각 정해져 있다. 교수가 잘 아는 내용이라도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곳이 기업이라면 자신이 독점하지 않고 기업에 넘긴다. 서로가 추구하는 최종 상품을 만드는 데 주력하는 셈이다. 자신이 독점한다고 최종 상품이 ...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2009.04.07
- 말했다. “대형집단연구사업은 톱다운 방식(위에서 주제를 정해 하는 방식)으로 주제를 정해놓고 연구를 시작하지만, 보텀업 연구는 소규모로 자유롭게 연구하는데 적절한 방식입니다. 지금껏 생명과학에서 많은 성과가 나왔지만 아직도 인류가 모르는 분야가 훨씬 많아요. 개인의 창의성을 ...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2009.02.24
- 시대’에 연구원의 역할은 무엇일까. 박 원장은 “융합기술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생명공학과 나노기술이 융합한다고 해서 어떤 상품이 만들어져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직은 모른다는 얘기다. 그는 “지금은 다같이 지혜를 모으는 단계”라며 ... ...
이전394041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