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표제
테마
타이틀
논제
문제
목표
스페셜
"
제목
"(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월간과학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11월호에는 ‘의자는 살인무기(Killer Chairs)’라는
제목
의 칼럼이 실렸다. 기고가는 메이요클리닉의 내분비학자 제임스 레바인(James Levine)으로, 알고 보니 의자에 오래 앉아있는 게 건강엔 치명적이라는 주장을 하는 대표적인 과학자다. 레바인 교수는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10월 30일자 온라인판에는 ‘과거를 음미하기(Savoring the Past)’라는 어울리지 않는
제목
의 논문이 실렸다. 과거를 음미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밝힌 논문으로 음미의 심리학을 뒷받침하는 신경과학 연구결과인 셈이다.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마우리치오 델가도 교수팀은 피험자들에게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설명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 처음북스 제공 블레이저 교수는 ‘점점 커 가는 키’라는
제목
의 12장에서 이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 지역이 바로 동아시아로, 중국의 경우 2005년 6살 남아의 평균키는 한 세대 전인 1975년보다 6.5센티미터나 더 커졌다고 한다. 여아의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위험인자로서의 빛공해(Light Pollution as a New Risk Factor for Human Breast and Prostate Cancers)’라는
제목
의 책에 대한 서평이다. 전립선암이면 남성도 일주리듬 교란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말이다. 그러고 보니 최근 우리나라 남성들의 전립선암이 급증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다. 왠지 앞뒤가 잘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실험실 커플 증가 추세 학술지 ‘네이처’ 6월 26일자에는 ‘친밀한 협력자’라는
제목
으로 심층 기사가 실렸다. 실험실 커플을 포함해 일과 사랑을 함께 한 과학자 커플 네 쌍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당시 필자는 ‘뜬금없이 왜 이런 기사를 실었지?’라고 생각하며 읽지 않고 지나갔는데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책을 보다 소위 ‘능금’이라고 부르는 토종 사과에 대한 부분을 읽고 좀 놀랐다. 책
제목
에 우리가 익숙한 사과 대신 능금을 쓴 건 저자의 의도였다. 즉 원래 능금이 널리 쓰이는 용어였는데 1960년대를 지나며 역전이 돼 사과라는 이름이 쓰이고 능금은 우리 재래종을 지칭하는 말로 축소돼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하는 연구도 있었다. 특히 필자는 2012년 한 저널에 ‘바나나 껍질의 마찰계수’라는
제목
의 논문을 발표한 일본의 연구진이 수상한 물리학상에 관심이 갔다. 바나나 껍질이 왜 미끄러운가에 대한 이유를 밝힌 연구라는 것이다.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지는가를 밝힌 일본 연구자들이 2014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해야 마음이 편하다. ●화석 시료 오염이 오류의 원인 ‘지식의 반감기’란 멋진
제목
의 책을 읽다보니 문득 지난달 ‘네이처’(8월 21일자)에 실린 한 논문이 생각났다. 탄소14(14C)의 반감기를 이용한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을 개선해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시기를 추정한 연구결과다. 새로운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사사이 박사가 2013년 ‘네이처’에 기고한 리뷰 논문의
제목
도 ‘신체조직구성의 자기조직화에서 세포시스템의 동력학’으로 물리학의 개념이 상당히 반영돼 있다. 즉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조직이나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적인가?(Friend or Foe of Mankind?’에서 따왔고 2권의
제목
역시 맨 앞에 나오는 에세이의
제목
‘과학에 크게 취해(High on Science)’를 그대로 썼다. 1권의 첫 에세이 ‘인류의 친구인가 적인가?’는 디트리히 슈톨첸베르크라는 작가가 쓴 ‘화학자, 노벨상 수상자, 독일인, 유태인인 프리츠 하버(Fritz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