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일어나는 일이라 국민들이 지진해일에 대한 개념이 없고 훈련이 안 돼 있다. 이 수석연구원은 “동해안 해안도로에 있는 가로등을 모두 깜빡거리게 한다든지, 일시에 재난 문자를 보내는 등 대피명령을 신속하게 알리는 시스템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시마 섬 근처(발생원 2)에서 ...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대상 | 신범영 ‘IC 1396’지난해 11월 26일부터 지난 1월 24일까지 강원 화천군 별만세관측소에서 IC 1396을 찍은 사진 중 하나. IC 1396은 세페우스 자리에 있으며 발광성운, 산개성단, 암흑성운 등 다양한 ...
- 젊은 여성 위협하는 3대 질환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습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➌ 불임의 원인 자궁근종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자궁근종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의 수는 2005년 19만 5000명에서 2009년 23만 7000명으로 21.1% 증가했다. 10만 명당 환자수로 보면 833명에서 982명으로 17.9% 증가했다. 이 중 20~30대 젊은 층의 발병이 눈에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구는 푸르다. 이 얼마나 멋진가. 1961년 4월 12일 유리 가가린은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내려다보며 이렇게 말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났다. 그 동안 사람은 달에 다녀왔고, 수많은 우주인이 인류를 우주에 더욱 가깝게 이끌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8년 처음으로 우주인을 배출했다. ...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131종, 630여 점의 전시물을 직접 조작, 관찰할 수 있다. 홍릉수목원은 국립산림과학연구원의 부속 전문 수목원으로서, 국내외의 다양한 식물 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려고 조성한 시험 연구림이다. 수목원은 산림보호를 위해 주말에만 일반에 공개된다. 경희대 자연사박물관은 20여 년에 ...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호메오유전자의 어떤 부분의 염기서열이 서로 비슷한 걸까. 이때 게링 교수팀에 박사후연구원으로 온 윌리엄 맥기니스 박사가 실험에 뛰어 들었고 마침내 해답을 알아냈다.즉 호메오유전자 사이에 DNA 염기 180개로 이뤄진 부분의 염기서열(아미노산 60개를 지정)이 서로 매우 비슷하다는 게 밝혀졌다. ... ...
-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주 찾기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필자가 대학에 입학한 1999년, 전자메일이 보급되고 인터넷이 급속도로 퍼지기 시작했다. 인터넷으로 수많은 정보가 교류되면서 넘쳐나는 정보 속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거나 다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일었다. 필자 또한 관심이 생겨 서울대 지능형데이터베이스시스템 연구실 ...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범행 사실과 행적이 낱낱이 드러났다.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의 수사관과 국과수 연구원들의 공으로 A전자의 기밀을 빼내 경쟁사 B전자에 넘긴 산업스파이가 죗값을 받게 됐다.재판과정에서 다룬 컴퓨터, 휴대전화, 차량 이외에도 냉장고, 전기밥솥에서부터 은행전산망, 선박운행컴퓨터 등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기기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시계를 맞추는 걸까.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에 있는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은 신이 인간에게 준 ‘1초’를 정확하게 재현해 내는 기계다. [광펑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한국 표준시간은 모두 이 KRISS-1을 기준으로 맞춘다. 세계 ...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과학동아 l2011년 04호
- ” [MEMS 연구실에서는 MEMS 기술과의생명공학을 결합해 유용한 제품을 개발한다. 연구원들이 모여 포즈를취했다(위). 오른쪽은 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이종현 교수.]수정체 닮은 마이크로렌즈이 교수는 MEMS 기술과 의생명공학을 결합해 ‘의료시스템학제전공’을 만들었다. 현재 의대와 공대의 ... ...
이전4364374384394404414424434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