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해요. 질문을 한 용기를 칭찬하고 더욱자신감을북돋아주기위한 목적이었어요. 수업의 첫
날
에는 학생들에게 모두 하얀 종이를 한 장씩 나누어 주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적으라고 하셨어요. 학생들이 모두 적어 내려고 할 때, 교수님은 그 종이를 낼 필요 없이 스스로 간직하며 두고두고 ... ...
매야, 다시 높이
날
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를 이끌어가고 있는 박용순 응사랍니다. 충남 금산에 그 옛
날
의 응방을 복원해 놓고 직접 매를 기르면서 매사냥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려는 분이시죠.한겨울의 매서운 공기를 가르며 다시 한번 힘찬 비상을 꿈꾸는 매들과 박용순 응사. 그들의 본격적인 매사냥 이야기가 ... ...
혼자 힘으로 만든 공상과학영화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작은 소망에서 시작한 영화제가 이제 큰 꿈을 이룰
날
도 멀지 않은 듯하다. 소박한 열정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궁금하면 런던 SF 영화제에 가볼 것을 권한다 ...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제공된다. 또 미니전시나 자료실 등을 통해 유명한 식 E=mc²이 쓰여진 친필 논문을 만
날
수 있다. 또한 아인슈타인이 태어나서부터 사망하기까지가 체계적으로 정리된 개인 역사기록을 볼 수 있다. 1879년 3월 14일 오전 11시 30분에 독일에서 태어난 아인슈타인이 1905년 다수 논문 발표와 박사학위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세 개 이상의 선로를 접속하는 단자쌍을 가진다 석영을 20% 이 하 함유하는 섬 록암 토
날
라이트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다 칼크알칼리 계열의 안산암(安山岩)에 상당하는 화학조성을 가지는 조립 완정질(完晶質)의 화성암이다 화산암의 하나 화학성분은 화강섬록암과 비슷하며, 반상조직(斑狀組織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그만큼 뛰어났기 때문. 결국 김 교수는 연구자와 관리자 모두에서 실력을 인정받아 오늘
날
이 자리까지 온 것이다.질량의 근원을 찾아서그러나 김 교수의 오늘이 있기까지 모든 것이 평탄했던 것은 아니다. 가장 큰 아쉬움으로 남는 것은 텍사스에 건설되다가 예산이 끊겨 1993년 공사가 중단된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름을 갖게 되었어요. 하지만 성격은 정말 소심하게 그지없대요. 삼양이비 오는
날
발견한 고양이래요. 누나의 친구 집 옥상 배수구에 끼여 죽을 뻔 한 걸 구했다고 해요. 속눈썹이 눈을 파고드는 병이 있어 한쪽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한답니다. 하지만 성격은 누구보다 밝다고 해요. 고냥이현재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않는다.창조성과 진화를 생각하다보니 문학으로 다시 돌아왔다. 유치하기 짝이 없는 옛
날
연애편지를 들춰본 적이 있는가? 닭살이 돋다가도 ‘연애를 하면 누구나 시인이 된다’는 말에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는가?진화론은 문학, 정치, 경제, 과학기술에 이르기까지 문어발처럼 적용 범위를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몇 시간 뒤, 풍선이 우리가 원하는 고도인 42km까지 올라갔다. 풍선이 기지 상공을
날
고 있는 동안은 기지에서 조정을 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미국 텍사스의 팔레스타인 기지와 메릴랜드대 조정기지가 맡는다. 우리는 1월 13일 오후 1시 무렵까지 남극에서 조정을 할 수 있었다.우리 풍선은 기존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후 NIH 내 한국인 연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취재 당일만 해도 전
날
강연차 NIH를 다녀간 이종욱 박사 영향 때문인지 들뜬 분위기였다.현재 NIH에는 이서구 김성진 박사 등 국내외에 잘 알려진 이름난 과학자들 외에도 정식직원 20여명을 포함해 약 300명의 한국인 학자들이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