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20세기의 사고와 관행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 전개될 것이다. 21세기의 미래기술은
빛
의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변할 것 같다. 과거의 관념으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신기술이 등장하며, 그 덕분에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진 일들이 현실로 나타날 것이다. 현대 의학으로 도저히 고칠 수 없다고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갖가지 우연과 웃지 못할 해프닝을 수없이 거친 후에야 하나의 신약이 세상에서
빛
을 볼 수 있었다. 고혈압치료제에서 탈바꿈해 발기부전 치료제로 최종 개발된 비아그라의 탄생 드라마를 들여다보자.‘바늘 구멍에 낙타 들어가기’ ‘심마니가 산삼 캐기’. 엄청난 노력과 행운이 따르지 않고서는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결혼했다. 그녀는 이를 부끄럽게 여겨 얼굴을 가리고 다녔기 때문에 여섯 개의 별만
빛
나게 됐다고 한다,히아데스는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거인 아틀라스와 아이트라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딸들이다. 플레이아데스와 배다른 자매들 이기도한 이들은 제우스의 어린 아들 디오니소스를 돌본 공로로 ... ...
오목 거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반사된다. 이렇게 반사된
빛
을 눈으로 봐도 역시 상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상은 실제로
빛
이 모여서 생긴 것이 아니므로 허상(virtual image)이라고 한다. 허상은 실상과 달리 방향이 바뀌지 않고, 항상 확대된 상이 만들어 진다(그림2). 오목 거울 가까이에서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면 얼굴이 크게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부분이 눈 쪽에 오게 해 태양을 바라본다.⑦ 도화지의 작은 구멍을 통해 들어온 태양
빛
이 주둥이에 붙인 반투명 테이프에 상을 만들면 자를 이용해 밀리미터 단위로 지름을 측정한다.⑧ 페트병의 바닥에 붙인 도화지와 마개에 붙인 테이프까지의 거리를 밀리미터 단위로 잰다.■확인하기그림에서 ... ...
평생 사용하는 전구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이용한 푸른색 레이저를 쓰면 디스크의 저장능력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푸른색
빛
의 파장이 짧으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붉은색 레이저보다 정보를 좀더 많이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베토벤의 교향곡 전부 혹은 마돈나의 노래 모두를 하나의 CD에 담는 것이 가능해진다”라고 ... ...
블랙홀 충돌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새로운 눈인 중력파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 커
빛
도 빠져나올수 없기 때문에 이들이 방출하는 중력파를 검출해서 이들을 관축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때문에 이번 연구도 블랙홀에서 생성된 중력파를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기를 만들어내기 위한 모의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맞는 생일은 유난히 감회가 새로웠다. 하얀 눈동산은 흰 케이크처럼 보였고 에메랄드
빛
얼음웅덩이는 생일선물로 준 커다란 보석 같았다. 어디선가 날아온 갈매기와 저 멀리 보이는 물개는 생일을 축하해 주는 축하객. 잠시 자연과 한몸이 되는 순간이었다.이번 북극 탐사는 많은 것을 보고 배울 수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좋아 다시 한번 주목해 볼 만하다.■31일: 금성 서방최대이각지난 9월 26일 최대광도로
빛
나던 금성은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데, 이 달 31일 새벽 동쪽 하늘에서 서방최대이각에 이른다. 이날 금성은 태양의 서쪽 46도 39분 떨어져 있어 일출 30분 전에 동쪽 하늘 40도 정도 위에 떠 있다. 광도도 -4. ... ...
시각정보 전달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배출을 낮게 조절하고,
빛
이 너무 약하면 글루탄산염의 배출을 늘린다. 우리 눈이 폭넓은
빛
에 무리 없이 반응할 수 있는 것은 글루탐산염 수용체의 이와 같은 조절작용 때문이다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