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림으로 보는 '원자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0여년이 지나 발견됐다. ‘쿼크’(quark)라는 이름이 붙은 소립자가 그것이다. 그
이후
에 발견되거나 예언된 소립자들은 하나같이 휴대전화 신상품의 모델명 같은 낯선 이름이 붙여졌다. 뉴트리노(neotrino), 뮤온(muon), 타우(tau) 같은 소립자들은 입자 가속기와 같은 혁신적인 실험장비의 도움을 얻어 그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미국화학회지’(JACS)에 논문을 발표했고 인공효소모방시스템도 개발했다. 2003년
이후
‘사이언스’를 포함해 ‘PNAS’ 등 유명 학술지에 7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그 피인용 횟수는 1600회에 이른다. 남 단장은 “연구단의 비상(飛上)은 이제 시작”이라며 “전 세계 생무기화학 분야를 깜짝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위는 ‘광우병과 미국산 쇠고기 안전성 논란’이 차지했다. 2008년 5월 한미 쇠고기협상
이후
불거진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논란은 전국으로 번진 촛불시위의 도화선이었다. 여기에는 광우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변형프리온 단백질이 소의 어느 부위에 많은지, 생후 30개월 소를 기준으로 광우병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영롱이를 탄생시켜 국민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다음달 복제 한우 ‘진이’가 선보였고
이후
황우석 박사는 복제의 대부로 한국을 넘어 세계에 이름을 알리게 됐다. 세계 최초로 인간 체세포에서 확립한 줄기세포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연거푸 발표하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지만 오래되지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있다.그렇다고 해서 ‘종의 기원’의 과학적 성과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종의 기원’
이후
과학자들은 자연선택과 같은 이론들을 검증하는 진지한 연구를 시작했다. 진화론 연구가 ‘종의 기원’이 출간된 뒤에야 진지하게 과학의 영역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종의 기원’은 분명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천문학자들이 원하던 우주 탄생 장면을 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구경 30m급은 돼야 빅뱅
이후
10억 년이 지난 뒤 처음 생겨난 은하를 볼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8m급 망원경 개발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그 뒤 진전된 새로운 기술 덕분에 30m급 망원경을 개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에 투입되는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대식세포를 활성화해 항암효과를 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가 방송된 1995년
이후
일본에서는 오징어먹물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국수나 라면, 스파게티 같은 면류는 물론 오징어먹물 김치까지 나왔다고 한다.그 뒤 연구자들은 일렉신이 타이로시나제라는 효소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루고 ... ...
케이크에 미친 네 남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악몽을 떠올린다. 스스로를 여자라고 믿는 선우가 진혁에게 사랑을 고백했기 때문이다.
이후
진혁과 선우는 멀어졌고 10년이 지난 뒤 케이크 숍 사장과 파티셰로 마주선 셈이다.진혁은 마음이 내키지 않았지만 작은 동네 케이크 숍에 일류 파티셰가 올 리는 만무한 상황이라 울며 겨자 먹기로 선우를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월평균 흑점수가 0을 나타낸 지 1년이 넘었습니다. 1913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지요.”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조경석 박사는 최근 태양 흑점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순순히 인정했다.흑점은 태양 표면에서 주변보다 온도가 1500℃ 정도 낮아 검게 보이는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답하라.(단 화성의 적도면과 두 위성의 공전궤도면이 나란하다고 가정한다.) 1) 11월
이후
화성이 뜨는 시각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옳은 그래프를 고르시오. 2) 화성 북반구의 중위도에 사는 화성인이 새벽 6시에 그림과 같은 위치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를 관측했다. 다음 자료를 이용해 약 1시간 뒤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