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변이와 이와 관련된 질병을 연구한 ‘마이클 위글러’, ‘찰스 리’, ‘스티븐 쉬어러’
팀
이 수상 후보로 꼽혔다. 그리고 포유류의 DNA 복제 과정을 밝혀낸 ‘제임스 다넬’, ‘로버트 뢰더’, ‘로버트 티잔’ 등이 노벨상 후보로 꼽혔다. 이번 노벨상 후보 투표는 [동아사이언스 포털]에서 ... ...
가속기 핵심장치 ‘방사선 발생장치’ 국내기술로 개발
2014.10.01
출력도 변한다는 한계 때문에 이 장비를 작게 만들기 어려웠다. 원자력연 연구
팀
은 이 장비를 업그레이드해 자석 간 척력(밀어내는 힘)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조정했다. 또 자기장의 세기 대신 자석의 주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방사선의 출력을 일정하게 ... ...
우울할 땐 운동이 약… 골격근 단백질이 우울증 막는다
2014.09.30
우울함을 나타내는 반면, 유전자변형 쥐는 우울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연구
팀
은 유전자변형 쥐에서 PGC-1알파 1뿐 아니라 ‘KAT’이라는 효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도 새로 발견했다. KAT 효소는 ‘카이뉴레닌(Kynurenine)’이라는 물질을 ‘카이뉴레인 산(Kynurenine acid)’으로 바꾸는 역할을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이선영 목재가공과 연구관
팀
과 울산과학기술대(UNIST) 이상영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팀
은 공동으로 셀룰로오스로 만든 종이 분리막과 전극을 이용해 휘어지는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9월 30일 밝혔다. 종이의 원료인 셀룰로오스는 나무의 주성분인데, 연구진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나노 ... ...
‘남극대구’ 게놈 최초 해독…동상-고지혈증 치료 청신호?
2014.09.26
치료에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현 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
팀
은 미국, 호주 국제 연구진과의 공동 연구로 '남극대구'의 유전체(게놈) 전체를 분석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남극고등생물의 게놈 전체가 해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극 주변 바다는 평균 수온이 영하 1. ... ...
황우석 줄기세포 스캔들 그 후 10년
2014.09.19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올해 4월에는 국내 차병원 줄기세포연구소
팀
이 태아가 아닌 성인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태아의 세포 대신 성인의 피부세포를 이용한 만큼 한 단계 더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했다. 세포치료제를 만들 때 환자 자신의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3대를 동원해 크기 10cm 이상인 우주쓰레기의 궤도를 모두 파악하고 있다. 카리스마
팀
은 일차적으로 이 정보를 우리 위성 궤도와 비교해 3일 뒤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 이때 기준은 1000분의 1이다. 충돌 확률을 계산했을 때 1000분의 1보다 큰 값이 나오면 위성의 회피기동을 고려해야 한다. ... ...
주사로 하이드로겔 맞으세요~
2014.09.17
받았다. 이밖에 한 교수
팀
이 김기문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POSTECH 화학과 교수)
팀
과 함께 공동으로 개발한 자기조립 하이드로겔도 이번 리뷰 논문에 소개됐다. 여기에는 암이나 뇌졸중 등의 질환을 치료할 줄기세포를 넣을 수 있다. 현재 이 하이드로겔은 (주)제넥신과 기술이전 계약을 ... ...
서바이벌 ‘과학 독서 배틀’ 첫 개최
2014.09.17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서바이벌 ‘과학 독서 배틀’이 처음 개최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청소년의 과학적 사 ... 형식으로 발표하면서 서바이벌 대결을 펼치게 된다. 중·고등부 서바이벌의 최종 우승
팀
에게는 각각 미래부 장관상이 수여된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 ...
쌈배추에 개똥쑥 추출물 계속 뿌렸더니…
2014.09.17
해결할 천연 생장 조절제를 개발했다. 김진효 농촌진흥청 화학물질안전과 연구사
팀
은 계피와 개똥쑥에서 추출한 물질로 천연 생장 조절제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100여 종의 식물 추출물에서 생장 억제 기능이 있는 물질을 탐색했다. 그 결과 계피와 개똥쑥 추출물이 쌈채소의 ... ...
이전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