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d라이브러리
"
복잡
"(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스널컴퓨터 교실④ 슈퍼마켓 고객관리 프로그래밍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끼리는 왼쪽에서 오른쪽의 순서로 계산한다. 위의 몇 가지 보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복잡
한 계산식을 BASIC으로 작성 하는데에 특히 3가지를 주의해야 한다. 첫째는 곱셈을 표시하는 경우이다. 즉 일반적으로 두 수의 곱은 연산자를 생략하여 a=bc 형태로 나타내지만 BASIC에서는 반드시 ‘*’의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났을때의 필요한 안전장치를 모두 차단해 버리고 실험을 하는 사람들에게 원자로와 같은
복잡
하고 위험이 언제나 도사리고 있는 장비의 운영을 어떻게 맡길 수 있었을까고 이들은 고개를 내저었다. 소련 원자력 평화이용위원회 위원장인 '안드로니크 페트로시안츠'는 체르노빌 원전이 1983년 가동을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필요한 주변 환경이 억눌림을 받게 되면 퇴화될 것이다. 뇌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
한 전기화학적 기계라 하였다. 신경과학은 아직 초보적 단계이지만 뇌의 신비를 벗기기 위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두개의 의식, 오른쪽 뇌와 왼쪽 뇌 오른쪽 뇌반구와 왼쪽 뇌반구는 서로 다른 ... ...
텔리텍스트(Telextet, 문자다중방송) 다양속의 선택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있다. 국내에는 88년에야 실용화 최근의 사회·경제·문화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생활이
복잡
해 지고 가치관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른 다양한 정보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나타난 것이 텔리텍스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우리 나라에도 매우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 ...
약학교육의 방향전환 무엇을 만드나 보다 어떻게 쓰나를 중요시할 때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만들어낸 약품을 각 종류별로 어떻게 섞어 환자의 어떤 증상에 어떻게 투여해야 하는지
복잡
하여져 문제가 생길 어려운 상태에 와있다. 그래서 약학계에서는 10여년 전부터 약을 일선에서 다루는 인력을 양성하는 약학 교육이 무엇을 만드는가 하는 쪽보다는 어떻게 사용하는 가에 중점을 둔 교육이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기억도 그만큼 보존해야 된다. 따라서 새로운 구조가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처음부터
복잡
한 것을 다룰 수 없으므로 '스카하라'는 단순한 것에서 출발, 대장균을 조사하여 연구를 발전시켰다. 여기서 얻어진 단기 기억모델을 토대로 고등동물 연구에 돌입한 것이다. 최근 뇌에는 2종류의 ... ...
당뇨병 완치 가능하다 세포이식의 새로운 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의학자들은 거부현상에 대해 연구를 많이 했으며 생각했던 것보다 그 과정이 매우
복잡
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면역체계는 여러가지 세포의 각기다른 역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 세포가운데 잘 알려진것은 헬퍼(helper), 킬러(Killer) 그리고 서프레서(Suppressor) T 세포인것이다. 쉽게 말하면 헬퍼 ... ...
첨단산업시대의 직업 미래를 알아야 성공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전망이라고 주장한다. ⑧ 교육자 세계를 움직이는 기술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점점
복잡
해짐에 따라 미래의 노동자들은 재 훈련을 받기 위하여 끊임없이 교실로 돌아가지 않으면 된다. 이러한 학습 사회에서는 교육자가 당연히 필요하다. 공립학교는 다양성을 가지며 학생은 자기 능력과 취미에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우주에서 제일 단순한 거시적 물체이다'에 도달하게 된다. 블랙홀을 형성하는 과정이
복잡
하고 지저분하다 할지라도 일단 별의 붕괴로 블랙홀이 형성되면 그 중력장은 질량과 각 운동량으로서만 표형되는 커(Kerr)계량의 형태가 된다. 이러한 '무모(無毛 : no hair)정리'는 완전한 만병통치약으로 ... ...
문제인식에서 오류수정까지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실행시간과 기억장치의 용량을 허비하므로 좋지 않다. □ 흐름도(flow diagram) 문제가
복잡
해짐에 따라 해결방법을 분명하고 간결한 알고리즘으로 표현하기가 어려워진다.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흐름도(flow diagram)가 있는데 이것은 도형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훨씬 능률적이다.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