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력
템포
스피드
박자
리듬
빠르기
진전속도
d라이브러리
"
속도
"(으)로 총 7,180건 검색되었습니다.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샷스키가 형성됐다. 현재 일본 동쪽으로부터 1천3백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태평양의 이동
속도
가 연간 1백mm이므로 1천3백만년 후 샷스키는 일본과 충돌하게 된다.샷스키는 규모가 크고 밀도가 높은 해양지각이어서 이때의 충돌은 한반도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샷스키는 태평양판과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두께는 더 가볍고 얇아졌다.보통 태블릿PC의 성능은 일반 컴퓨터와 같기 때문에 그 발전
속도
도 비슷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하지만 올 상반기 기능이 한층 향상된 OS와 태블릿 전용 디스플레이 기술이 나오면 전체 시장에서 태블릿PC의 위상은 더 올라갈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매질에 따라 진행
속도
가 달라지는데, 진공 속에서 빛의
속도
와 어떤 매질 속의 빛의
속도
의 비를 굴절률이라 한다 굴절률이 클수록 매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휘어지는 정도가 커진다소립자 세계의 질서를 나타낸 기본 모형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인 쿼크, 렙톤과 이들 사이의 힘을 매개하는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하지만 이 모델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확장
속도
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점, 일본열도와 대륙조각들을 복원했을 때 일부분이 겹쳐진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동해 해저 시추 결과 동해 확장 초기에 형성된 화산암의 연대들이 2천만년 전후로 나타난다는 ... ...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지금까지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사항은 느린 셔터
속도
. 최근 촬영에서 저장까지의 처리
속도
가 크게 개선됐다.tip디지털 카메라가 상을 확대하는 방법에는 렌즈의 위치를 바꾸는 광학줌과 센서에 맺힌 상을 확대하는 디지털줌 2가지 방식이 있다. 광학줌 배율이 높은 카메라일수록 렌즈 수가 많다.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생각한다. 영문과 한글 사이트 모두 텍스트 위주로 구성돼 사이트가 예쁘지는 않지만
속도
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황사가 궁금해요 yellow.metri.re.kr매년 3월과 4월이 되면 서쪽에서 누런 구름이 몰려온다. 황사는 아시아 대륙 중심에 위치한 사막과 황토지대의 모래와 황토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더 많은 양의 모래나 펄이 바닷물에 잠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수면의 상승
속도
가 느려지기 시작한 5천년 전이 돼서야 갯벌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그렇다면 서해에 왜 이토록 넓은 갯벌이 형성될 수 있었을까? 넓은 갯벌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을 알아보자. 갯벌은 밀물 때는 바닷물에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AAAS) 연례회의에 참석한 언어학자들은 언어의 멸종
속도
가 동식물의 멸종
속도
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에 따르면 금세기 말까지 현재 말해지는 6천8백가지의 언어 가운데 절반이 사라질 전망이다.이런 ‘언어 대멸종’ 의 가장 큰 원인은 세계화의 확산이라고. 사용자가 수천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것. 하루 1시간 약한 고주파 진동을 가해주면 이 진동이 뼈와 근육에 인공적인 중력가
속도
를 주기 때문에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또다른 위험요소는 우주방사선. 간혹 우주방사선의 고에너지 이온들이 우주선 벽을 통과해 피부세포의 DNA를 끊고 면역체계에 관련된 T세포를 파괴한다. 실제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는 “빛은 전자에 비해 정보처리의 양과
속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며 “만일 빛의 발생과 전달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면 광집적회로가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현재 컴퓨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광컴퓨터가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