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설계도"(으)로 총 4,6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컴퓨터 원리, 국내 연구진이 입증과학동아 l2014.04.22
- 우리나라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진이 차세대 컴퓨터인 ‘양자컴퓨터’의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미국·호주 연구진과 공동으로 ‘인-실리콘 기반 양자컴퓨터’의 실용화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자컴퓨터는 현재의 ...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③과학동아 l2014.04.17
- ※편집자주 4월은 ‘과학의 달’, 이달 21일은 ‘과학의 날’입니다. 해마다 이맘때면 과학상상그리기, 로켓 날리기 등 체험 이벤트와 대중 과학강연,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과학의 의미를 공유하고 느껴보자는 취지겠지만 4월이 지나가면 언제 그랬냐는 듯 과학은 잊혀지기 ... ...
- 조류독감 검출 2분만에 '뚝딱'과학동아 l2014.04.13
- 물 한방울의 10분의 1 정도의 시료만으로 신종인플루엔자나 사스(SARS), 조류독감, 돼지독감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입자형 센서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분자인식연구센터 우경자 박사팀과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김상경 박사팀은 형광 특성과 자석 성질을 ... ...
- 여의도로 몰려드는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4.04.11
- 화이트보드를 가득 채운 수식은 대표적인 파생금융상품인 ‘주가연계증권(ELS)’의 설계도였다. 주가연계증권은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동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이다. 보통 이 증권을 사는 고객이 투자하는 돈과 주식 종목, 은행 대출금리가 연결돼 상품이 구성된다. ... ...
- 실종 한 달 만에 신호 보낸 블랙박스, 그동안 어떻게 버텼나 과학동아 l2014.04.07
- 말레이시아 항공기 추락 해역(오른쪽)의 모습과 말레이시아 항공기 수색 일정. - 동아일보 DB, 호주 국방부 제공 지난달 8일 실종돼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던 말레이시아 항공기 ‘MH370’ 수색팀은 최근 ‘블랙박스 확보’에 혈안이 돼 있다. 블랙박스엔 항공기의 비행 기록이 들어 있어 사고원인 ... ...
- 佛 연구진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과학동아 l2014.04.04
- 강한 지진은 해일이나 도로 및 가옥 붕괴 등의 큰 피해를 가져온다. 투명망토 기술을 응용하면 지진파 에너지를 감소시키거나 피해 없이 그대로 통과시키는 기술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진해일(쓰나미)이 덮쳐 큰 피해를 입은 2011년 3월의 일본 이와테 현 오후나토 시의 모습. - 동아일 ... ...
- 우주에 핀 ‘해바라기’…제2의 지구 찾는다과학동아 l2014.03.25
- NASA 제공 우주망원경 앞에 커다란 해바라기가 피어 있다. 촘촘히 나 있는 꽃잎 사이로 빛이 들어오다가 곧 칠흑같이 진한 그림자에 가려 없어진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 중인 ‘별 가리개’의 모습이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진은 외계에서 지구와 크기나 기온이 비슷한 ‘제2 ... ...
- 3D 프린터가 핵융합 연구 돕는다과학동아 l2014.03.23
-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제공 3차원(3D) 프린팅 기술이 패션이나 피규어 제작 뿐만 아니라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실험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에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미국 ITER팀은 설비의 설계와 문제점 확인을 위해 3D ... ...
- 3D프린터로 전기차를? 美 로컬모터스의 남다른 시도동아일보 l2014.03.20
- 직접 생산 및 자동차 설계에 참여한다. 또한 디자이너가 자동차를 디자인 한 후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엔지니어들이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디자인 수정을 반복하는 기존의 과정을 벗어나 디자이너와 엔지니어가 함께 일하면서 좀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랠리 ... ...
- “창조력은 재미에서 나와… 결과 강요 않는 ‘맛보기 교육’ 펼쳐야”동아일보 l2014.03.20
- [동아일보] ‘롱테일 경제학’ 저자 크리스 앤더슨 “창조력(creativity)은 재미(fun)에서 나옵니다. 시험이나 일, 과제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한국 정부가 창조경제를 추구한다면 아이들에게 어릴 적부터 다양한 분야의 재미를 맛볼 수 있게 하는 교육, 그리고 이런 생각을 실현할 툴(tool)을 제공해야 합 ... ...
이전4384394404414424434444454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