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방향을 이리저리 돌리면, 화면 속 별자리도 따라 움직였다. 육안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작은 별자리까지 선명하게 나타났다.과학계에도 아이폰 응용프로그램 열풍이 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천문과 지도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다. 천문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2009년 ...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처음 발견했다. 하지만 수ns(나노초, 1ns=10-9초) 이하의 짧은 시간 동안 나노 수준의 작은 공간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이다 보니 기계로 관측이 이뤄진 것은 최근에 와서다.김 교수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스핀파 현상을 실생활의 기술에 응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강력한 스핀파를 ... ...
- 화석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미화석. 중국 남부 지방에서 발견된 6억 년 전 배아(➊). 4억 2000만년 전 살던 자루 모양의 작은 동물‘ 키티노조아’(➋ )와 같은 시대의 포자 화석(➌). 4억 5000만 년 전에 살던‘ 스콜코돈트’(➍). 미생물이 만든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무늬(➎).5개의 화석이 이야기를 다 마쳤어요. 모두 재미있는 ... ...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사용한다. 하지만 평균에는 엄청난 함정이 있다. 바로 자룟값 중 아주 큰 값이 있거나 작은 값이 있으면 자료를 대표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다. 정보원의 말에 따르면 강의 평균 수심은 1.4m라고 한다. 1.4m보다 수심이 얇은 곳도 있고 높은 곳도 있다. 10m마다 잰 강의 수심이 1.0m, 1.2m, 1.4m, 2m, 1. ... ...
- 지붕뚫고 하이킥의 단짝, 해리와 신애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말하는 지희 양의 모습에 조금 놀랐어요. 해리와 첫 인사를 나누고 있을 때 해리의 작은빵꾸똥꾸 신애 양이 들어왔어요. 책상 위에 놓인 수학동아책을 보더니, “어? 나 이 책 아는데!” 하며 반갑게 맞아 줬어요. 두 친구가 모두 모였고, 우리는 본격적으로 이야기꽃을 피웠어요.우선 지난 해 MBC ...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물체의 길이를 재고자 할 때 그 물체의 길이가 2cm와 3cm 사이라면 단위 길이인 1cm보다 작은 1mm 단위가 필요합니다. 단위 길이로 표현하기 위해서 비 의미의 분수가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가 초등학교에서 ‘2+5, 5-2, 5×6, 12÷3은 각각 얼마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는 것에 이상한 점은 없습니다. ...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사실은 모든 물체가 중력을 가지고 있어요. 다만 질량이 큰 물체의 중력 이 훨씬 더 커서 작은 중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뿐이지요.특히 지구나 태양, 달과 같이 질량이 아주 큰 천체들은 강력한 중력을 발휘해요. 지구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달이 지구의 바닷물을 움직여 밀물과 썰물을 ... ...
- 무한을 향한 도전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무한히 작은 단위로 쪼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아가는 공의 위치를 무한히 작은 시간 단위로 쪼개면 각 시각에서의 속도를 알 수 있다. 또 면은 무수히 많은 선이 모인 것이고 어떤 도형을 이루는 선들이 평행하게 움직여도 그 넓이는 변하지 않는다.무한을 나타내는 기호, ∞1656년 월리스는 ... ...
- 표면장력 스파이더맨 납시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모방해 새로운 접착장치(사진 속 원 안)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한쪽 면에 수많은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판이 있다. 이 면 아래로는 구멍으로 물을 뿜어내는 전자장치와 물이 들어 있는 부분이 있다. 전자장치는 ‘전자삼투유동(electro-osmotic flow)’이라는 원리를 이용해 낮은 전압을 가해 구멍으로 ... ...
- 자기조립물질이 경고하는 지구온난화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지구의 존속을 위해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풍자했다.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세상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새삼 경이롭다. 강 연구원의 작품은 과학저널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NSF)이 선정한 ‘2009 국제 과학기술 시각화대회’ 사진 부문 1위에 뽑혔다. 올해로 일곱 ... ...
이전4394404414424434444454464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