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고대인들은 태양과 달의 운행을 관측했다는 흔적이 있고 계절의 변화와 1년의 추이도
측정
했음을 알수 있다. 그것은 신석기시대인의 생존에 이런 관측이 중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천문학이 문명의 기원과 함께 시작되었다는것은 고대인의 생활에 천문관측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이다.지구가 ... ...
물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시보장치를 동작케 하였다.이를 위해 물시계와 시보장치의 접속부분에 액면의 높이(
측정
된 시간간격)를 시보용 시간신호로 변환해 주는 시보용 신호발생장치를 두었다. 그런데 이것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위를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이산적인 시간의 지표로 변환해 주는 일종의 ... ...
국내 최초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이러한 인원을 어떻게 확보하느냐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말하면서 “정밀
측정
을 위한 고가장비의 구입도 만만치 않다”고 애로사항을 털어놓았다. 직업병연구는 사회의 건강함을 회복하는데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일이므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정소장의 주장이다 ... ...
첨단과학기술의 주춧돌이 되기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분동재료개발 등이 있고, 부력보정과 관련해서는 고체의 부피
측정
공기밀도의 정밀
측정
그리고 고성능 질량비교기개발 등 많은 과제가 있다.한편 도량형관련학자들은 현재 원기에 의한 질량표준을 자연현상에 의한 질량표준으로 대치할 수 있는 방향을 찾고 있으나 아직 뚜렷이 기대되는 방법이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전통은 조선시대말까지 연연히 이어졌다. 이 처럼 오랫동안 많은 해시계를 만들어 시간
측정
에 쓴 민족은 별로 없다.그러나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그 오랜 전통을 찾아보기 어렵다. 서양에는 아직도 곳곳에 해시계가 그대로 설치되어 옛 멋을 간직하고 있는데···이 좋은 우리의 전통을 되살리기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숫자는 빛깔도 없고 맛을 볼 수도 없으며, 품질관리에 쓰는 검사기구에 넣고 강도를
측정
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통계의 질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통계를 생산하는 각 단계에서 원칙이 지켰는지를 놓고 판단할 수 밖에 없다.생산된 통계는 그 신뢰도로 질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 ...
로봇의 눈 컴퓨터비전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ITMI사에서 개발한 자동검색 시스팀 두가지를 소개한다. 먼저 실리콘 웨이퍼의 위치를
측정
하는 예를 들어본다.(그림7)의 (a)와 같이 웨이퍼가 놓이면 사진을 통하여 (b)와 같이 외곽과 웨이퍼의 중심을 찾아서 직경을 산출하고 (c)와 같이 4각형 외곽을 확정한다. 이것을 토대로하여 웨이퍼의 방향을 (d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수는 정말로 상상적인 것은 아니며 중요한 실용가치를 갖고 있다. 그러나 허수는 질량을
측정
하는데 적절한 종류의 수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허질량'은 불합리한것으로 간주될 것이며 또 그렇게 생각되어 왔다.그런데 1962년에 빌라뉴크 연구반은 이 허질량의 문제를 정면으로 취급, 이것이 어떤 ... ...
에너지를 담는 수소저장합금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실험장치에 넣고 고압의 수소를 가하였다. 다음 날 실험실에 돌아온 그는 수소압력을
측정
해 보았는데 엉뚱한(?) 결과가 나왔다. 고압이었던 수소압력이 크게 낮아진 것을 발견한 것이다. 그는 실험장치 밖으로 수소가 새어나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뭔가 미심쩍어 실험장치를 손본 뒤에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있다. 최근에는 전자회전반응방법 (ESR)이 상원의 검은모루(1987)와 금굴(1988)의 연대
측정
에 사용되었다.한편 석기의 용도를 추정하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구석기인들이 석기를 만들었지만 이를 실제로 어떻게 썼는지 알아내야 당시 사람들의 행동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 이때 주사전자현미경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