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뉴스
"
연구소
"(으)로 총 9,69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24~25일 탈출 콘서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과학문화행사 ‘돔 탈출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정인경 고려대 과학기술학
연구소
책임연구원와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교수, 그래픽디자이너 유지원 작가가 연사로 참여한다. 야외 공간에서 승차 방식의 콘서트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할 예정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20일 ... ...
[2020 국감]무리한 고발 불기소 결론 신성철 총장 "사필귀정의 결말"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DGIST) 총장 재직시절이던 2012년 이후 공동연구를 하던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
연구소
(LBNL)에 보내지 않아도 될 연구비 22억 원을 보내게 하고 제자의 국내 겸임교수 채용 등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등의 의혹으로 과기정통부에 의해 검찰에 고발됐다. 신 총장 외에 DGIST에서 실무를 담당했던 교수 2명과 ... ...
러, 코로나19 백신 한국서 생산한다는데…안전성 논란 속 임상 자료 내달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결과 일부를 다음 달에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데니스 로구노프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
부소장은 “임상 참가자 5000∼1만명의 데이터가 내달 공개될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스푸트니크 V 3상 시험은 백신이 승인된 이후인 지난달 모스크바 시민 4만명을 대상으로 시작됐다. 드미트리예프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더 복잡함을 알 수 있다. ‘사이언스 신호전달’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
연구소
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8권)》,《생명과학의 기원을 ... ...
"중이온 가속기 2021년 완공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걸쳐 건설하기로 돼 있었다”라며 “하지만 모델로 삼고 있던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
연구소
의 가속기도 7000억 원의 예산으로 17년에 걸쳐 건설됐는데, 애초부터 무리가 아니었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권 단장은 “처음에는 개념 설계만 이뤄졌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컸다”라고 답했다. ... ...
가장 짧은 시간 측정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위해 라인하르트 도너 독일 괴테대 교수 연구팀은 독일 함부르크 소재 전자싱크트론
연구소
(DESY)의 입자가속기를 활용해 수소 분자를 통과하는 X선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X선의 에너지를 설정하고 단일 광자를 수소 분자에 있는 2개의 전자에 충돌시켰다. 수소 분자는 2개의 양성자와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 배출되는 '삼중수소'…DNA손상 우려
연합뉴스
l
2020.10.20
서해에 유입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독일 헬름홀츠 해양
연구소
의 영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출 시 세슘137 등 핵종 물질이 1㎥당 1천만조분의 1㏃만큼 미량인 경우에는 한 달 내로 제주도와 서해에 도달할 수 있다. ◇ "일본에 ... ...
플라스틱 젖병, 5500만개 미세플라스틱 나온다…한국선 하루 130만개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왕징징 아일랜드 트리니티대 앰버
연구소
연구원과 존 볼란드 화학과 교수, 샤오리웬 도시구조환경공학부 공동연구팀은 플라스틱 유아용 젖병에 분유를 탈 때 나오는 미세플라스틱의 수를 분석하고 한국을 비롯한 48개 국가에서 유아가 이를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주도한 논문이다.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이세웅 호주 퀸즐랜드대 의학
연구소
교수(당시 서울대 소속)가 각각 교신저자와 1저자로 참여한 ‘몰레큘러 셀’ 지 발표 논문은 6개 조작 가능성이 제기됐다. 저산소증 환경에서 렙틴이라는 단백질이 메틸화되는 과정을 밝힌 이 논문에서는 ... ...
시각AI가 어종 판별, 가짜뉴스 색출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시각 AI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얼마나 될까. 이용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인공지능
연구소
시각지능연구실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열화상 카메라로 발열 체크를 할 때도 시각지능이 쓰인다”며 “영상과 음성이 섞여 있는 가짜뉴스를 색출할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